본문 바로가기

민수기

민수기29장

민수기 29

 

29장을 천천히 읽으세요.

 

요약: 일곱째 달에는 3가지 절기를 지켜야 한다. 초하루는 나팔절, 열흘 날에는 속죄일, 열 다섯째 날부터 칠 일 간은 초막절로 지키라고 명하셨다. 초막절의 연속인 제8일은 장엄한 대회로 모이는 날이다.

 

 

 

나팔절 (1~6)

 

① 일곱째 달-티쉬리월()- 초하루에는 성회로 모이고 아무 노동도 하지 말라 이는 나팔을 불 날이다(1). 레위기에서는 이 날을 나팔을 불어 기념할 날이라 하고 있다(23:24). ※ 나팔절에만 나팔을 부는 것은 아니다(10:10 참조). 그럼에도 일 년 중 하루를 정하여 나팔을 불어 기념할 날로 지키게 하셨다. 무엇을 기념할까?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일 것이다. ※※ 언제부터인지는 확실치 않은데, 유대인들은 미쉬나-실생활에 적용할 율법을 반복학습으로 배우게 하기위해 AD200년경 랍비 유다가 완성-에 따라 나팔절을 로슈 하샤나로 부르는 신년(새해)으로 하고 있다. 그렇지만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나팔절을 제정하실 당시에는 신년과는 관련이 없었다.

② 수송아지 한 마리와 숫양 한 마리와 일 년 되고 흠 없는 숫양 일곱 마리를 여호와께 향기로운 번제로 드려야 한다(2).

③ 그 소제로는 고운 가루에 기름을 섞어서 쓰되 수송아지에는 십분의 삼 (에바)요 숫양에는 십분의 이요(3), 어린 양 일곱 마리에는 어린 양 한 마리마다 십분의 일을 드린다(4).

④ 또 속죄하기 위하여 숫염소 한 마리로 속죄제를 드린다(5). (이 모든 것을) 그 달의 번제와 그 소제와 상번제와 그 소제와 그 전제 외에 그 규례를 따라 향기로운 냄새로 화제를 여호와께 드려야 한다(6). ‘그 달의 번제는 초하루(new moon 월삭)의 번제를 말한다. “besides the burnt offering of the new moon and its grain offering, and the continual burnt offering and its grain offering, and their drink offerings, according to their ordinance, for a soothing aroma, an offering by fire to the LORD.”(6)(NASB). 매달 초하루의 번제가 칠월 달에는 나팔절로 대체되었다고 보는 경우도 있는데(열린다성경 절기이야기 p163), 이는 옳지 않다고 생각된다. 본 장 2-수송아지 한 마리- & 6-그 달의 번제외에- 28:11-수송아지 두 마리-에서 볼 수 있듯이, 초하루의 번제와 나팔절의 번제는 서로 다른 것이다. 초하루의 번제 < 나팔절의 번제 라고 굳이 가정한다면, 오히려 나팔절에 수송아지를 한 마리만 줄여서 드리는 문제가 생긴다.

 

 

속죄일 (7~11)

 

① 일곱째 달 열흘 날에는 성회로 모일 것이요, 심령을 괴롭게 하며 아무 일도 하지 말 것이다(7). ‘심령을 괴롭게 하다‘shall afflict your souls’(KJV)를 따른 번역인데, 자기를 부정하다 또는 금식하다(must deny yourselves or fast)(NIV), 굶다(must go without food)(NLT), 자신을 낮추다(shall humble yourselves)(NASB) 등으로 번역된다.

② 수송아지 한 마리와 숫양 한 마리와 일 년 된 숫양 일곱 마리를 다 흠 없는 것으로 여호와께 향기로운 번제를 드린다(8).

③ 그 소제로는 고운 가루에 기름을 섞어서 쓰되, 수송아지 한 마리에는 십분의 삼이요 숫양 한 마리에는 십분의 이요(9), 어린 양 일곱 마리에는 어린 양 한 마리마다 십분의 일을 드릴 것이다(10).

④ ㉠속죄제와 상번제와 그 소제와 그 전제 외에 숫염소 한 마리를 ㉡속죄제로 드릴 것이다(11). ㉠과 ㉡은 다른 속죄제인데,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다. 공통점은 이스라엘 온 회중이 드리는 속죄제라는 점이고, 차이점은 ㉡의 속죄제는 속죄일에 드리는 소위 공식적인 속죄제이고, ㉠의 속죄제는 마침 속죄일에 드려질 수도 있는 다른 속죄제로서 15:24(“회중이 부지중에 범죄하였거든 온 회중은 수송아지 한 마리를 여호와께 향기로운 화제로 드리고 규례대로 소제와 전제를 드리고 숫염소 한 마리를 속죄제로 드릴 것이라”)와 같은 속죄제라고 할 것이다.

 

 

초막절 (12~39)

 

① 일곱째 달 열 다섯째 날에는 성회로 모이고 아무 일도 하지 말며 이레 동안 여호와 앞에 절기를 지켜야 한다(12). 번제로 여호와께 향기로운 화제를 드리되 수송아지 열 세 마리와 숫양 두 마리와 일 년 된 숫양 열 네 마리를 다 흠 없는 것으로 드릴 것이며(13), 그 소제로는 고운 가루에 기름을 섞어서 수송아지 열 세 마리에는 각기 십분의 삼이요, 숫양 두 마리에는 각기 십분의 이요(14), 어린 양 열 네 마리에는 각기 십분의 일을 드린다(15). 상번제와 그 소제와 그 전제 외에 숫염소 한 마리를 속죄제로 드려야 한다(16).

② 둘째 날에는 수송아지 열 두 마리와 숫양 두 마리와 일 년 되고 흠 없는 숫양 열 네 마리를 드리고(17), 그 소제와 전제는 수송아지와 숫양과 어린 양의 수효를 따라서 규례-소제: 수송아지 3/10, 숫양 2/10, 어린 양 1/10 에바 ; 전제: 수송아지 1/2, 숫양 1/3, 어린 양 1/4 -대로 하며(18), 상번제와 그 소제와 그 전제 외에 숫염소 한 마리를 속죄제로 드려야 한다(19).

③ 셋째 날에는 수송아지 열 한 마리와 숫양 두 마리와 일 년 되고 흠 없는 숫양 열 네 마리를 드리고(20), 그 소제와 전제는 수송아지와 숫양과 어린 양의 수효를 따라서 규례대로 하고(21), 상번제와 그 소제와 그 전제 외에 숫염소 한 마리를 속죄제로 드려야 한다(22).

④ 넷째 날에는 수송아지 열 마리와 숫양 두 마리와 일 년 되고 흠 없는 숫양 열 네 마리를 드리고(23), 그 소제와 전제는 수송아지와 숫양과 어린 양의 수효를 따라 규례대로 하며(24), 상번제와 그 소제와 그 전제 외에 숫염소 한 마리를 속죄제로 드려야 한다(25).

⑤ 다섯째 날에는 수송아지 아홉 마리와 숫양 두 마리와 일 년 되고 흠 없는 숫양 열 네 마리를 드리고(26), 그 소제와 전제는 수송아지와 숫양과 어린 양의 수효를 따라서 규례대로 하며(27), 상번제와 그 소제와 그 전제 외에 숫염소 한 마리를 속죄제로 드려야 한다(28).

⑥ 여섯째 날에는 수송아지 여덟 마리와 숫양 두 마리와 일 년 되고 흠 없는 숫양 열 네 마리를 드리고(29), 그 소제와 전제는 수송아지와 숫양과 어린 양의 수효를 따라서 규례대로 하며(30), 상번제와 그 소제와 그 전제 외에 숫염소 한 마리를 속죄제로 드려야 한다(31).

⑦ 일곱째 날에는 수송아지 일곱 마리와 숫양 두 마리와 일 년 되고 흠 없는 숫양 열 네 마리를 드리고(32), 그 소제와 전제는 수송아지와 숫양과 어린 양의 수효를 따라 규례대로 하며(33), 상번제와 그 소제와 그 전제 외에 숫염소 한 마리를 속죄제로 드려야 한다(34).

⑧ 드리는 제물의 양-수송아지 70마리, 숫양 14마리, 어린 양 98마리-과 반복되는 규정-13~34절에서 7차례 반복됨-을 통해 초막절이 중요한 절기임을 일러주신다. 유월절(무교절)이 이스라엘 자손을 애굽에서 구원해 내셨음을 기념하는 절기이고, 광야 여정 초기에 율법을 받은 사건도 오순절(칠칠절) 시기에 있었으므로 하나님의 구원 사역 기간 중에 일어났다. 뒤에 있는 초막절도 역시 이스라엘 자손을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시고 초막에 거주하게 하셨음을 기념하는 절기다(23:43). 안식일도 절기(appointed times)이므로, 만나를 통해 처음 주어진 안식일 규례도 광야 여정 가운데 집중적이고 반복적으로 말씀하셨기에 구원 문제와 직간접적으로 연관된다고 봐야 한다. 따라서 중요한-또는 대부분의- 절기는 구원과 관련이 있는데, 마지막 날의 열방을 향한 심판과 구원도 초막절과 관련이 있다. “예루살렘을 치러 왔던 이방 나라들 중에 남은 자가 해마다 올라와서 그 왕 만군의 여호와께 경배하며 초막절을 지킬 것이라”(14:16).

⑨ 여덟째 날에는 장엄한 대회(a solemn assembly 엄숙한/신성한 집회)-거룩한 대회 a sacred assembly / a holy convocation (23:36)-로 모일 것이요 아무 일도 하지 말고(35), 번제로 여호와께 향기로운 화제를 드리되 수송아지 한 마리와 숫양 한 마리와 일 년 되고 흠 없는 숫양 일곱 마리를 드리고(36), 그 소제와 전제는 수송아지와 숫양과 어린 양의 수효를 따라 규례대로 하며(37), 상번제와 그 소제와 그 전제 외에 숫염소 한 마리를 속죄제로 드려야 한다(38). 초막절을 7일 동안 지키라고 하셨으므로(12), 8일 째 되는 날은 장엄한 대회로 모이는 날이다. 일상적인 일(regular work)이나 노동(laborious work)은 금지된다. 초막절은 칠 일 동안 계속되어 끝나지만, 팔 일에도 장엄한 대회로 모여야 하므로 초막절의 연장이 된다. ※ 예수님의 사역 중에도 이 여덟째 날의 사역이 기록되어 있는데 장엄한 대회와 관련이 있다. “아침에 다시 성전으로 들어오시니 백성이 다 나아오는지라 앉으사 그들을 가르치시더니”(8:2).

⑩ 이 절기(appointed times)에는 여호와께 이상과 같이 드려야 하는데, 이는 서원제나 낙헌제(vow and freewill offerings/ votive offerings and freewill offerings)로 드리는 번제, 소제, 전제, 화목제 외에 드릴 것이다(39). 서원제나 낙헌제는 개인적인 경우에 드리는 것이므로, 초막절에 드리는 것과는 별개로 드려야 한다(23:38).

 

 

 

[문제29-1] 다음 민29장의 나팔절과 관련하여 틀린 것을 고르세요.

① 매달 초하루(월삭)의 번제가 나팔절에는 나팔절에 드리는 번제로 대치된다.

② 일곱째 달 초하루가 나팔을 불어 기념할 날인 나팔절이다.

③ 수송아지 한 마리와 숫양 한 마리와 일 년 되고 흠 없는 숫양 일곱 마리를 여호와께 향기로운 번제로 드려야 한다.

④ 속죄하기 위하여 숫염소 한 마리로 속죄제를 드린다.

⑤ 나팔절에는 아무 노동도 하지 말아야 한다.

 

 

[문제29-2] 다음 민29장의 속죄일과 관련하여 틀린 것을 고르세요.

① 심령을 괴롭게 하다 라는 말은 자신을 낮추다, 자기를 부정하다, 금식하다 라는 의미이다.

7 10일은 속죄일로서 성회로 모여야 한다.

③ 수송아지 한 마리와 숫양 한 마리와 일 년 된 숫양 일곱 마리를 다 흠 없는 것으로 여호와께 향기로운 번제를 드린다.

④ 속죄일에는 이 날 드리는 속죄제 외에 다른 속죄제를 드려서는 안 된다.

⑤ 숫염소 한 마리를 속죄제로 드린다.

 

 

[문제29-3] 다음 민29장의 초막절과 관련하여 틀린 것을 고르세요.

7 15일에 초막절이 시작된다.

8일 동안 지키는 절기이다.

③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자손을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시고 초막에 거주하게 하셨음을 기념하는 절기다.

④ 제8일은 초막절의 연장으로, 장엄한 대회로 모이고 아무 일도 하지 않아야 한다.

⑤ 초막절은 이스라엘과 열방의 구원과 관련이 있는 절기이다.

 

 

 

핵심 한 줄

 

⒜ 나팔을 불며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를 기념해야 한다.

⒝ 자신을 부정하고 낮추는 것이 속죄하는 최소한의 모습이어야 한다.

⒞ 초막절의 의미도 하나님의 구원이다.

 

 

암송 구절

1

7

12

13

32

35

36

 

 

정답

[문제29-1]

[문제29-2]

[문제29-3]

 

 

적용

㈎ 유월절을 비롯한 절기들을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자손을 애굽에서 구원해 내신 것과 연관 지어 설명해 보라.

㈏ 나팔절에도 속죄일에도 초막절 7일과 8일에도 속죄제가 빠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Copyright © 2013 by Paul Han

 

blog.daum.net/happybible

'민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수기31장  (0) 2013.12.31
민수기30장  (0) 2013.12.20
민수기28장  (0) 2013.11.16
민수기27장  (0) 2013.11.02
민수기26장  (0) 2013.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