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위기27장
레위기 27장
레27장을 천천히 읽으세요.
요약: 본 장은 레위기의 마지막 장으로, 앞에서 여호와의 규례와 법도를 따라 살면 하나님 나라가 이뤄지고 그 나라의 백성이 됨을 보았다. 이제 하나님 나라의 백성들이 된 자들이 하나님께 서원하여 예물을 드리는 방법을 말씀하신다. 서원 예물로는 사람의 값, 가축, 집, 토지 등을 드릴 수 있다. 처음 난 가축, 여호와께 온전히 바친 것, 땅의 십 분 일 등 3가지는 서원 예물로 드릴 수 없다.
여호와께 사람의 값을 서원 예물로 드리는 경우 (2~8절)
① 만일 어떤 사람이 자신을 포함한 사람을-사람의 값을- 여호와 앞에 드리기로 서원했다면 다음과 같은 금액을 드려야 한다(2절). ‘사람을 드린다’ 라는 의미를, 어떤 사람을 드려 성막 봉사 등 여호와의 일을 감당하게 한다는 뜻으로 보기도 한다(QA성경, 성서원 刊). 그러나 이것보다는 사람을 구별하여 상징적으로 드린다는 의미가 더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처음부터 사람의 값을 정하여 드리도록 하셨기 때문이다. “만일 어떤 사람이 사람의 값을 여호와께 드리기로 분명히 서원하였으면…” 이라고 하여, 사람을 드리되 가축이나 토지처럼 직접 드릴 수 없기에 일종의 ‘속전’의 형식으로 드리는 것으로 봐야 한다. 이는 또한 사람의 모든 연령대에 해당하는 값을 정해주셨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다면 드려진 사람이 얼마 동안이나 하나님의 일을 해야 하는지 말씀하시지 않았고, 20~60세의 남자가 드릴 은(silver) 50세겔은 품꾼의 2백 일 치 품삯에 지나지 않으므로 예를 들어 성막에서 수 년 간 봉사하는 것에 비하면 환산 금액으로는 너무 적다고 하겠다. 또한 6절에서처럼 1개월 밖에 안 된 아이가 성막에서 할 수 있는 일이란 없기 때문에 직접 봉사를 목적으로 드려지는 것은 아니라고 하겠다. 한나와 사무엘의 예는 아래 28절의 ‘헤렘’에 해당되는 경우이다. 또한 당시 노예의 금액이 30세겔 정도였다는 것도 여기와는 상관이 없는 얘기가 될 것이다.
② 20~60살까지의 남자면 성소의 세겔로 은 50세겔, 여자면 30세겔로 한다(3~4절). 남자 20세는 인구 숫자로 계수되는 나이의 시작이며, 전쟁에 나갈 수 있는 최소한의 나이로서, 20~60세는 백성의 중추를 이루는 나이 대이다.
③ 5~20살까지는 남자면 그 값을 20세겔, 여자면 10세겔로 한다(5절).
④ 1개월~5살까지는 남자면 5세겔, 여자면 3세겔로 한다(6절).
⑤ 60살 이상의 남자면 15세겔, 여자는 10세겔로 한다(7절).
※ 위에서 나열된 나이 중 겹치는 나이는 5세 20세 60세이다.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1개월~5세는 1개월부터 5세가 될 때까지 즉 만4세까지, 5~20세는 5세가 된 때로부터 20세가 될 때까지, 20~60세는 20세가 된 때로부터 60세가 될 때까지, 60세 이상은 60세가 된 때로부터 그 이상의 모든 나이라고 봐야 한다.
⑥ 서원자가 가난하여 그 값을 감당하지 못하겠으면, 그를 제사장 앞으로 데리고 갈 것이요-가게 할 것이요- 제사장은 그 값을 정하되 그 서원자의 형편대로 값을 정해야 한다(8절).
가축을 예물로 드리는 경우 (9~13절)
① 여호와께 가축을 서원 예물로 드릴 때는 (그 드린 모든 가축이) 다 거룩하므로(9절), 그것을 변경하여 우열간 바꾸지 못하고-좋은 것을 나쁜 것으로, 나쁜 것을 좋은 것으로 바꾸지 못하고- 혹 가축으로 가축을 바꾸면 둘 다 거룩하게 된다(10절). ‘둘 다 거룩하게 된다’는 것은 ‘둘 다 여호와께 드려져야 한다’는 뜻이다. 여호와께 드리는 예물(제물)을 바꾸지 못하게 하신 것은, 인간의 의지나 감정에 따라 거룩하신 하나님께 드려지는 예물이 가볍게 취급되지 못하도록 하시려는 데 있다. 신중하게 서원하고 확실하게 실천해야 한다.
② (서원 예물로 드렸으나) 부정하여 여호와께 예물로 드리지 못할 가축이면 그 가축을 제사장 앞으로 끌어가야 하고(11절), 제사장은 우열간에 값을 정해야 하는데, 그 값이 제사장이 정한 대로 된다(12절). 따라서 서원자는 그 부정한 가축을 대신하여 제사장이 정한 값을 드리게 된다.
③ 만일 서원자가 그 부정한 가축을 무르려면 네가-제사장이- 정한 값에 오 분의 일을 더해야 한다(13절). ※ 정(淨)한 가축은 무를 수 없고, 부정한 가축은 서원 예물로 드렸다가 무를 수 있지만 제사장이 정한 값에다 1/5을 더해 무를 수 있다. 이는 속건제 규정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5:16 참조).
집을 예물로 드리는 경우 (14~15절)
① 어떤 사람이 자기 집을 성별하여 여호와께 드리려 하면 제사장이 그 우열간에 값을 정하는데, 제사장이 정한 대로 된다(14절). 제사장이 정한 집 값이, 무르는 기준이 된다.
② 만일 그 사람이 (드리기로 한) 자기 집을 무르려면 제사장이 정한 값에 오분의 일을 더하여 드리고 자기 소유로 되돌릴 수 있다(15절).
기업된 밭 일부를 드리는 경우 (16~25절)
① 어떤 사람이 자기 기업된 밭 얼마를 성별하여 여호와께 드리려 하면 마지기 수대로 값을 정하되 보리 한 호멜지기는 은 오십 세겔로 계산한다(16절). 마지기 수대로-개역한글은 ‘두락 수대로’ 라고 함-의 의미는 ‘땅에 뿌릴 씨의 양에 따라’(according to the amount of seed required for it/ proportionate to the seed needed for it) 이다. 1호멜(homer)은 약 220리터이다. 따라서 보리 한 호멜지기는 보리 220리터의 씨를 뿌릴 수 있는 크기의 밭을 말한다. 이 크기의 밭이 액수로는 은 50세겔이 된다. 성별하여 여호와께 드린 집 값처럼, 이 50세겔도 또한 성별하여 드린 밭을 무르는 기준이 된다.
② 만일 그가 그 밭을 희년부터 성별하여 드렸으면 그 값을 네가 정한 대로-여호와께서 모세를 통해 정해 주신 대로- 해야 한다(17절). 희년에서 다음 희년까지 50년을 기준으로 한 호멜지기 밭의 값은 50세겔이 된다.
③ 만일 그 밭을 희년 후에 성별하여 드렸으면 제사장이 다음 희년까지 남은 연수를 따라 그 값을 계산하고 정한 값에서 그 값에 상당하게 감한다(18절). 희년이 돌아오면 여호와께 드렸던 밭도 그 드린 자에게 되돌려지므로, 다가올 희년이 얼마나 남았나에 따라서 값이 조절된다. 기준 금액이 50년에 50세겔이므로 예를 들어 1년마다 1세겔씩 감액될 수 있을 것이다.
④ 밭을 성별하여 드린 자가 무르려면 제사장이 정한 값에 오 분의 일을 더하여 드리고 자기 소유로 돌릴 수 있다(19절).
⑤ “만일 그가 그 밭을 무르지 아니하려거나 타인에게 팔았으면 다시는 무르지 못하고”(20절). 밑 줄 친 부분을 반드시 ‘무르지 아니하고 타인에게 팔았으면’ 으로 해야 한다. ※ 밭을 서원 예물로 드린 자가 무르지 않는다면 희년이 되었을 때 그 밭은 서원자에게 돌아가기 때문이다. 개역한글과 개역개정 성경처럼 번역하면 21절과 매치가 되지 않는다. 무르지 않은 자에게 희년에 그 땅은 되돌려지고, 서원자가 무르지 않고 타인에게 팔아버린 경우에만 희년이 되어도 서원자에게 되돌려지지 않고 제사장의 기업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20절처럼 ㉠무르지 아니하려거나 ㉡타인에게 팔았으면 으로 하여 마치 서원자가 2가지 선택이 가능한 것처럼 하면 안 된다.
⑥ 희년이 되어 (무르지 아니하고 타인에게 팔았던) 밭이 돌아오게 될 때는, 여호와께 바친 성물이 되어 영영히 드린 땅과 같이, 제사장의 기업이 된다(21절). ※ 성별하여 드린 밭을 무르지 않았다면 희년에 드린 자에게 돌려지지만, 무르지 않고 타인에게 팔았다면 희년에 서원자에게 되돌려지지 않고 제사장의 기업이 된다.
⑦ “만일 사람에게 샀고 자기 기업이 아닌 밭을 여호와께 성별하여 드렸으면”(22절), “너는 값을 정하고-16절의 그것을 말함- 제사장은 그를 위하여 희년까지 계산하고 그는 네가 값을 정한 돈을 그날에 여호와께 드려 성물로 삼을지며”(23절), “그가 판 밭은 희년에 그 판 사람 곧 그 땅의 원주인에게로 되돌아갈지니라”(24절). 밭을 드린 자는 ㉠제사장이 계산한 밭 값을 여호와께 드리고 ㉡다음 희년까지 밭을 활용하다가 ㉢희년이 되면 그 밭을 원주인에게 되돌려 준다. ※ 자기 기업인 밭을 드린 경우와 남의 밭을 사서 드린 경우의 차이점은, 전자는 밭을 드린 자가 그 밭을 사용하지 못하나, 후자는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성소의 세겔 (25절)
① 처음에 세겔은 금 은 동과 같은 금속의 무게를 재는 단위였다(출38:24 이하 참조). 이는 거래 시에도 사용되어 금이나 은의 중량을 달아서 당사자 간에 물품 대금으로 주고 받았을 것이다. 후대에 와서 이 세겔이 동전의 명칭으로 쓰이게 된다(마17:27). 세겔은 일반인들이 장터(marketplace)에서 쓰는 ‘일반 세겔’, 궁중에서 쓰는 ‘궁중(또는 왕실) 세겔’, 그리고 성소에서만 쓰이던 ‘성소 세겔’로 구분된다. 성소의 세겔이 일반인들이 장터와 같은 데서 사용하던 세겔과 약간 달랐던 것은 분명하다. 그렇지 않다면 ‘성소의 세겔’ 이라고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성소의 세겔이 일반 세겔보다 더 무거웠을 것이라는 주장과 가벼웠을 것이라는 주장이 대립하고 있다. 어느 것이 맞을까? 답은 알 수 없다 이다.
② 이 문제를 단순화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자. 통상적으로 일반 1세겔을 11.5그램으로 보고 있다. 성소의 1세겔은 20게라(gerah) 이다. 1게라는 0.6그램이므로 20게라는 0.6X 20= 12그램이다. 따라서 일반 세겔은 11.5g 이고, 성소 세겔은 12.0g 이 된다. 결론적으로, ㉠20게라가 성소의 1세겔이라는 것과 ㉡일반 세겔과 성소의 세겔은 ‘달랐을 것이다’ 라는 정도로만 정리해 두기로 하자.
처음 난 가축에 대한 규례 (26~27절)
① 가축 중에서 처음 난 것-히브리원어상으로는 암수(male and female)를 포함한다-은 여호와께 드릴 첫 것이다. 소나 양은 여호와의 것이니 누구든지 그것으로는 성별하여 드리지 못한다-드려서는 안 된다-. 가축의 첫 것은 이미 여호와의 것이므로, (새삼스럽게) 성별된 서원 예물로 드릴 수 없다는 말씀이다. 성별하여 예물을 드리려면 처음 난 것이 아닌 다른 것으로 드려야 한다. 이와는 반대되는 해석을 한 경우도 있는데, 잘못된 번역이라 생각된다. “가축 중 처음 난 것은 여호와의 것이니 누구든지 그것을 거룩하게 구별하고 다른 것으로 바치지 말아야 한다. 소나 양이나 여호와의 것이다.”(26절)(히브리어직역 구약성경, 말씀의집 刊)
② 만일 부정한 짐승의 처음 난 것을 드렸다면, 네가-제사장이- 정한 값에 오 분의 일(1/5)을 더하여 무르던지, 무르지 않으려면 제사장이 정한 값대로 팔아야 한다(27절). 제사장이 부정한 짐승의 값을 정하는 것은 11~12절과 같을 것이다. 무른 값이나 판 값이나 여호와께 드려진다.
여호와께 온전히 바친 것 (28~29절)
① “어떤 사람이 자기 소유 중에서 오직 여호와께 온전히 바친 모든 것은 사람이든지 가축이든지 기업의 밭이든지 팔지도 못하고 무르지도 못하나니 바친 것은 다 여호와께 지극히 거룩함이며”(28절). 이에 해당되는 경우가 한나의 서원이다(삼상1:11). 만약 한나가 마음이 변하여 사무엘이 젖 떼는 나이에, 위의 6절에서처럼 은 5세겔만 드리고 무를 수 없다는 뜻이다-물론 6절에서의 5세겔이 무르는 값이라는 말은 아니다-. 이 때 사무엘이 ‘온전히 바친 것’ 이 된다.
② (온전히) 바쳐진 것이라는 뜻의 (히)‘헤렘’ 에는 두 가지 뜻이 담겨 있다. 그 하나는 ‘거룩한 목적으로-성별되어- 바쳐지는 것’ 이란 뜻으로, ‘set apart’(따로 떼어놓다) 라고 번역된다. 다른 하나는 ‘심판을 위해-저주받을 것을 없애기 위해- 바쳐지는 것’ 이란 뜻으로, ‘put under the ban’(저주 아래 두다) 라고 번역된다.
③ “온전히 바쳐진 그 사람은 다시 무르지 못하나니 반드시 죽일지니라”(29절). 같은 절을 NLT 바이블로 보기로 하자. “A person specially set apart by the LORD for destruction cannot be redeemed. Such a person must be put to death.”(여호와를 위해 멸절시키기로 특별히 구별된 사람은 무를/속량될/구속될 수 없다. 그런 사람은 반드시 죽여야 한다). 이것의 대표적 예로는 여리고 성을 들 수 있다. 여리고는 멸절을 위해 여호와께 드려졌다(수6:17~21). 하나님을 거역한 백성, 악한 성읍과 거기 거주하는 사람들이 하나님께 드려졌고 따라서 저주받을 것이 된 그들을 없애기 위해 멸절되어야 했다(출22:20, 민21:2, 신7:2, 신13:15, 삼상15:3,18,33). 여호와께 불순종한 결과로 헤렘 규정을 어기게 되고 여호와께 버림받은 사람의 예로는 사울 왕을 들 수 있다(삼상 15장). ※ 본 절(29절)에 해당되는 또 다른 예로는 사사 ‘입다’의 서원을 들 수 있다(삿11:35~36).
십 분의 일은 여호와의 것 (30~33절)
① 땅의 십 분의 일 곧 그 땅의 곡식이나 나무의 열매 중 십 분의 일(1/10)은 여호와의 것으로, 여호와의 성물이다(30절).
② 만일 어떤 사람이 자기의 십일조를 무르려면 그것에 1/5을 더해 드려야 한다(31절). 십일조로 드린 곡식이나 열매를 무를 수 있지만, 동일한 품목의 곡식이나 열매를 먼저 드린 양(量)에 1/5 즉 20%를 가산하여 드려야 한다. 이는 한 마디로 무르지 않는 게 낫다는 말씀이다. ※ 1/5 가산은 곡식과 열매에만 해당되고 가축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가축은 다른 것으로 바꾸면 최소 100% 가산된다.
③ 모든 소나 양-염소 포함-의 십일조는 목자의 지팡이 아래로 통과하는 것의 열 번째의 것마다 여호와의 성물이 된다(32절). 그 열 번째의 우열을 가리거나 바꾸거나 하면 안 된다. 바꾸면 둘 다 거룩하게 되어 여호와께 모두 드려져야 한다(33절). 그래서 33절에서 ‘무르지 못한다’ 고 말씀하신다. 이것은 ㉠다른 것으로 바꾸지 못한다 ㉡돈으로 속하지(redeem) 못한다 ㉢바꾸려다가 두 마리를 드리게 되었다고 없던 일로 되돌리지 못한다 등의 의미가 있다. 따라서 33절을 한 마디로 표현하면 이렇게 된다. 바꿔서 두 마리 드릴래, 안 바꾸고 한 마리 드릴래? 만일 1/10을 드리는 자가 1/10에 해당된 가축이 아닌 다른 가축으로 두 번 바꾼다면 결과적으로 3마리 모두를 드리게 될 수도 있다고 할 것이다. 목자의 지팡이 아래로 지나는 10번째의 것이 튼실하지 못하다고 해서 다른 튼실한 것으로 바꾸지 말아야 한다. 그 반대의 경우는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이렇게 하라고 하신 이유는, 십 분의 일은 여호와의 것으로서 성물이므로, 1/10을 드리는 과정에서 만에 하나라도 사람의 생각이나 욕심이 개입될 여지를 차단하기 위해서일 것이다. ※ 여호와의 것으로 결정된 10번째의 것을 바꾸려고 시도하면 모두가 거룩하게 되어 되돌리지-바꾸려고 시도한 일을 없던 일로 하지- 못한다.
서원하여 드릴 수 없는 것 세 가지
① 짐승의 처음 난 것(26~27절), 온전히 바쳐진 것(28~29절), 땅과 가축의 십 분의 일(30~33절) 등 3가지는 이미 여호와의 것이므로 재차 서원하여 드릴 수 없다. 반대로 말하면 여호와께 드리는 서원 예물은 이미 여호와의 것으로 확정되어 있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
② 따라서 오늘날에도 십일조를 서원하여 드리겠다고 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다. 왜냐하면 십일조는 드리는 자의 작정이나 서원과는 상관없이 처음부터 하나님의 것으로 당연히 드려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여호와의 것인 십일조를 드리지 않는 행위를 ‘도둑질’ 이라고 말씀하신다(말3:8~9).
[문제27-1] 다음 레27장과 관련하여 틀린 것을 고르세요.
① 사람이 실제로 서원 예물로 드려지는 게 아니라 사람의 값이 드려짐으로 상징적인 의미에서 사람이 드려지는 것이라고 해야 한다.
② 정해진 사람의 값을 감당하지 못할 정도로 형편이 어려운 사람은 제사장이 형편에 맞게 정한다.
③ 부정한 가축을 드린 자는 제사장이 정해 준 값에다 1/5을 더해 드려야 한다.
④ 서원 예물로 가축을 드리려는 자가 우열간 바꾸게 되면 둘 다 거룩하게 되어 두 마리 다 드려야 한다.
⑤ 사람의 값은 여호와께서 정하셨고 모세를 통해 발표되었다.
[문제27-2] 다음 레27장과 관련하여 틀린 것을 고르세요.
① 서원하여 드리는 밭은 그 밭에 뿌릴 씨의 양에 따라 밭 값이 정해진다.
② 밭 값을 정하는 이유는 무르는 기준을 삼기 위함이다.
③ 보리 한 호멜지기의 밭 값은 은 50세겔이다.
④ 밭을 드린 자가 무르지 않으면 희년이 되었을 때 제사장의 기업으로 된다.
⑤ 남의 기업인 밭을 사서 드리려는 경우에는 제사장이 정한 값을 드리고 그 밭을 서원자가 사용한다.
[문제27-3] 다음 레27장의 온전히 바친 것과 관련하여 틀린 것을 고르세요.
① 온전히 바쳐진 사람의 예로는 사무엘과 입다의 딸을 들 수 있다.
② 여호와께 온전히 바친 것이라는 ‘헤렘’은 자신의 소유가 아닌 타인의 소유만을 드릴 수 있다.
③ 저주 아래 놓인 헤렘은 반드시 멸절되어야 하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여리고 성과 그 거민이다.
④ 여호와께 온전히 바친 것은 팔지도 무르지도 못한다.
⑤ 온전히 바친 것은 다 여호와께 지극히 거룩하다.
[문제27-4] 다음 레27장의 1/10 규정과 관련하여 틀린 것을 고르세요.
① 그 땅의 1/10은 여호와의 것으로 여호와의 성물이다.
② 곡식과 열매와 가축의 1/10은 여호와의 것이다.
③ 여호와의 것 1/10을 무르거나 바꾸려면, 곡식은 20% 가축은 최소 100% 가산된다.
④ 1/10은 서원하여 드릴 예물에 해당되지 않는다.
⑤ 1/10에 해당하는 가축엔 소와 양만 해당된다.
핵심 한 줄
⒜ 하나님 나라의 백성으로 만들어 주심에 부응하여 서원 예물을 드리자.
⒝ 여호와께 온전히 드리는 것은 되돌릴 수 없기에 오늘날에도 신중히 드려야 한다.
⒞ 십일조는 여호와의 것이므로, 정확히 드리는 외에 다른 조건이나 이론이나 생각을 갖다 붙이면 안 된다.
암송 구절
2절
3절
8절
9절
10절
16절
19절
26절
28절
29절
30절
31절
32절
33절
정답
[문제27-1] ③
[문제27-2] ④
[문제27-3] ②
[문제27-4] ⑤
적용
㈎ 성경에 나오는 ‘헤렘’의 예를 들어보고, 본 장과 연관 지어 설명해 보자.
㈏ 십일조를 어떻게 정의하고 드려야 하는 지, 본 장을 가지고 설명해 보자.
Copyright © 2012 by Paul Han
blog.daum.net/happyb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