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수기

민수기28장

paul han 2013. 11. 16. 21:17

민수기 28

 

28장을 천천히 읽으세요.

 

요약: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자손에게 내 헌물과 내 음식인 화제물을 드리라고 명령하셨다. 그것은 정해진 때나 절기에 번제의 형식으로 드려진다. 이에는 매일 드리는 번제, 안식일에 드리는 번제, 초하루에 드리는 번제, 무교절과 칠칠절에 드리는 번제가 있다.

 

 

 

날마다 드리는 번제 (1~8)

 

①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셨다(1). 이스라엘 자손에게 명령하여 이르라 내 헌물(My offering), 내 음식인 화제물 내 향기로운 것은 너희가 그 정한 시기-the appointed time, 정한 때-에 삼가 내게 바치라(2). 너희가 여호와께 드릴 화제는 이러하니 ㉠일 년 되고 흠 없는 숫양을 매일 두 마리씩 상번제로 드리되 ㉡어린 양 한 마리씩 아침과 해 질 때 각각 드리고 ㉢고운 가루 십분의 일 에바(ephah)-1에바는 22리터이므로 1/10에바는 2.2리터-, 빻아-찧어, 압착하여- 낸 기름(올리브 오일) 사분의 일 힌(hin)-1힌은 4리터이므로 1/4힌은 1리터-을 섞어서 소제(grain offering)로 드리라(3~5). 이는 시내 산에서 정한 상번제(regular burnt offering 일상적인 번제, continual burnt offering 계속 드리는 번제)로서 여호와께 드리는 향기로운 화제다(6).

② 여기에 전제(drink offering)로 어린 양 한 마리에 사분의 일 힌을 드리되 거룩한 곳-the holy place, 성소(성막) 인데, 특히 번제단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에서 여호와께 독주(strong drink, strong wine)의 전제를 부어 드린다(7). 해 질 때에는 두 번째 어린 양을 드리되 아침에 드린 소제와 전제와 같이 여호와께 향기로운 화제로 드린다(8).

③ 날마다 번제를 드리게 하신 이유는 무엇일까? ⓐ여호와께서 회막 문에서 이스라엘을 만나 주시려고 ⓑ회막과 제단과 제사장을 거룩하게 하셔서 여호와께 제사장 직분을 행하게 하시려고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자손 중에 거하여 그들의 하나님이 되시려고(29:42~46).

 

 

안식일의 번제 (9~10)

 

① 안식일에는 일 년 되고 흠 없는 숫양 두 마리와 고운 가루 십분의 이 (에바)에 기름 섞은 소제와 그 전제를 드린다(9). 이는 상번제와 그 전제 외에 매 안식일의 번제다(10).

② 소제에 섞는 기름과 전제로 드리는 포도주의 양은 다음과 같이 2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명확하게 그 양을 말씀하지 않았기에, 문자 그대로 적당한 양이라고 할 수 있다. ⓑ매일 드리는 상번제에서 유추하여 기름은 2/4 힌이라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숫양 두 마리를 각각 드리는 것이 아니라 한꺼번에 드려야 하고, 고운 가루의 양도 2/10 에바이므로, 올리브 오일의 양도 1/4 힌의 두 배인 2/4 힌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전제로 드려지는 포도주도 어린 양 한 마리 당 1/4 힌을 드려야 하므로(7,14), 두 마리의 양에 해당하는 2/4 힌이라고 해야 한다.

③ 날마다 드리는 번제를 안식일에도 드리는가? 그렇다. “This is the burnt offering for every Sabbath, in addition to the regular burnt offering and its drink offering. 이는 상번제와 그 전제에 더하여/추가로 매 안식일에 드리는 번제다.”(10)(NIV). 날마다 드리는 번제는 아침과 해 질 때에 드리는데, 안식일의 번제와 동시에 드리지는 않았으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안식일의 번제는 아침에 드리는 상번제와 해 질 때 드리는 상번제 사이에 드렸으리라 추정할 수 있다.

 

 

초하루에 드리는 번제 (11~15)

 

① 초하루에는 수송아지 두 마리와 숫양 한 마리와 일 년 되고 흠 없는 숫양 일곱 마리로 여호와께 번제를 드린다(11).

② 매 송아지에는 고운 가루 십분의 삼 (에바)에 기름 섞은 소제와 숫양 한 마리에는 고운 가루 십분의 이에 기름 섞은 소제와, 매 어린 양에는 고운 가루 십분의 일에 기름 섞은 소제를 향기로운 번제로 여호와께 화제를 드린다(12~13).

③ 그 전제는 수송아지 한 마리에 포도주 반 힌이고, 숫양 한 마리에 삼분의 일 힌이고, 어린 양 한 마리에 사분의 일 힌이니, 이는 일 년 중 매월 초하루의 번제다(14).

④ 또 상번제와 그 전제 외에 숫염소 한 마리를 속죄제로 여호와께 드려야 한다(15).

 

 

유월절과 무교절 규례 (16~25)

 

① 첫째 달-아빕월- 열 넷째 날-14-은 여호와를 위하여 지킬 유월절이다(16). 유월절에는 먼 훗날 번제가 드려지지만(대하35:16), 처음에는 번제가 드려지지 않았다. 유월절 양을 잡는 자체가 여호와께 제물을 드리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모든 백성이 함께 동시에 제사를 드리게 된다. “유월절 제사를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주신 각 성에서 드리지 말고 오직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자기의 이름을 두시려고 택하신 곳에서 네가 애굽에서 나오던 시각 곧 초저녁 해 질 때에 유월절 제물을 드리고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택하신 곳에서 그 고기를 구워 먹고 아침에 네 장막으로 돌아갈 것이니라”(16:5~7).

② 그 달 열 다섯째 날-유월절 다음날-부터는 명절-무교절-이니 이레 동안 무교병을 먹어야 한다(17). 그 첫날에는 성회(a holy convocation)로 모이고 아무 일도 하지 말아야 한다(18). 성회로 모이는 것은 세상 일을 중단하고 예배/기도/말씀/친교에 전념하는 것을 말한다.

③ 수송아지 두 마리와 숫양 한 마리와 일 년 된 숫양 일곱 마리를 다 흠 없는 것으로 여호와께 화제를 드려 번제가 되게 한다(19). 그 소제로는 고운 가루에 기름을 섞어서 쓰되, 수송아지 한 마리에는 십분의 삼, 숫양 한 마리에는 십분의 이, 어린 양 일곱에는 한 마리마다 십분의 일을 드린다(20~21).

④ 또 그들-이스라엘-을 속죄하기 위하여 숫염소 한 마리로 속죄제를 드리되, 아침에 드리는 상번제 외에 이 모든 것들을 드린다(22~23). 이 순서대로 이레 동안 매일 여호와께 향기로운 화제의 음식을 드리되 상번제와 그 전제 외에 드린다(24).

⑤ 일곱째 날에도 성회로 모이고 아무 일도 하지 말아야 한다(25).

⑥ 무교절과 칠칠절과 초막절에 모든 남자는 여호와 하나님을 뵈어야 한다. 이명절들이 3대 절기가 된다. “너의 가운데 모든 남자는 일 년에 세 번 곧 무교절과 칠칠절과 초막절에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택하신 곳에서 여호와를 뵈옵되 빈손으로 여호와를 뵈옵지 말고”(16:16).

 

 

칠칠절 규례 (26~31)

 

① 칠칠절 처음 익은 열매를 드리는 날에 여호와께 새 소제-새로 추수한 곡물로 드리는 소제-를 드릴 때에도 성회로 모이고 아무 일도 하지 말아야 한다(26). 무교절 기간 중에 들어 있는 안식일 다음날이 보리를 수확하여 제단에 바치는 초실절이다. 이 초실절부터 49일이 되는 날이 칠칠절이고, 그 다음날이 오순절이다. 이 때는 밀을 수확하는 시기가 된다. 칠칠절과 오순절은 유월절과 무교절처럼 붙어 있어서 같은 명절로 취급되고 있지만, 엄밀히 말하면 같지 않다. 일곱 주를 셀지니 곡식에 낫을 대는 첫 날부터 일곱 주를 세어 네 하나님 여호와 앞에 칠칠절을 지키되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복을 주신 대로 네 힘을 헤아려 자원하는 예물을 드리고 너와 네 자녀와 노비와 네 성중에 있는 레위인과 및 너희 중에 있는 객과 고아와 과부가 함께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자기의 이름을 두시려고 택하신 곳에서 네 하나님 여호와 앞에서 즐거워할지니라 너는 애굽에서 종 되었던 것을 기억하고 이 규례를 지켜 행할지니라”(16:9~12).

② 수송아지 두 마리와 숫양 한 마리와 일 년 된 숫양 일곱 마리로 여호와께 향기로운 번제를 드려야 한다(27). 그 소제로는 고운 가루에 기름을 섞어서 쓰되, 수송아지 한 마리마다 십분의 삼이요, 숫양 한 마리에는 십분의 이요, 어린 양 일곱 마리에는 한 마리마다 십분의 일을 드린다(28~29).

③ 또 그들을 속죄하기 위하여 숫염소 한 마리를 드린다(30).

(너희는) 다 흠 없는 것으로 상번제와 그 소제와 전제 외에 그것들을 드려야 한다(31). 본 절을 나누어 보자. ⓐ다 흠 없는 것으로 ⓑ상번제와 그 소제와 전제 외에 ⓒ그것들을 드려야 한다. 칠칠절에 드리는 모든 제물은 흠이 없는 것으로 ⓑ날마다 드려지는 상번제와 그 소제와 전제에 더하여 ⓒ칠칠절의 제물을 드려야 한다. / 여기서 문제가 되는 부분은 ⓑ이다. 한글 성경은 KJV를 따라 번역한 것으로 보인다. “Ye shall offer them beside the continual burnt offering, and his meat offering, (they shall be unto you without blemish) and their drink offerings.”(KJV). 그러나 원어 성경과 대부분의 영문 성경은 다음과 같이 번역하고 있다. “Besides the continual burnt offering and its grain offering, you shall present them with their drink offerings. They shall be without defect. 상번제와 소제 외에 너희는 전제와 함께 그것들-칠칠절의 제물-을 드려야 한다. 그것들은 흠이 없어야 한다.”(NASB). ※ 한글 성경처럼 번역하면 칠칠절에는 전제를 드리지 않는 것으로 된다. 27~30절에 전제를 드리라는 말씀이 없기 때문인데, 31절을 제대로 번역하면 전제를 드려야 하는 것이 된다.

⑤ 초실절 규례(23:10~14) : “이스라엘 자손에게 말하여 이르라 너희는 내가 너희에게 주는 땅에 들어가서 너희의 곡물을 거둘 때에 너희의 곡물의 첫 이삭 한 단을 제사장에게로 가져갈 것이요 제사장은 너희를 위하여 그 단을 여호와 앞에 기쁘게 받으심이 되도록 흔들되 안식일 이튿날에 흔들 것이며 너희가 그 단을 흔드는 날에 일 년 되고 흠 없는 숫양을 여호와께 번제로 드리고 그 소제로는 기름 섞은 고운 가루 십분의 이 에바를 여호와께 드려 화제로 삼아 향기로운 냄새가 되게 하고 전제로는 포도주 사분의 일 힌을 쓸 것이며 너희는 너희 하나님께 예물을 가져오는 그 날까지 떡이든지 볶은 곡식이든지 생 이삭이든지 먹지 말지니 이는 너희가 거주하는 각처에서 대대로 지킬 영원한 규례니라

⑥ 오순절 규례(23:15~21) : “안식일 이튿날 곧 너희가 요제로 곡식단을 가져온 날부터 세어서 일곱 안식일의 수효를 채우고 일곱 안식일 이튿날까지 합하여 오십 일을 계수하여 새 소제를 여호와께 드리되 너희의 처소에서 십분의 이 에바로 만든 떡 두 개를 가져다가 흔들지니 이는 고운 가루에 누룩을 넣어서 구운 것이요 이는 첫 요제로 여호와께 드리는 것이며 너희는 또 이 떡과 함께 일 년 된 흠 없는 어린 양 일곱 마리와 어린 수소 한 마리와 숫양 두 마리를 드리되 이것들을 그 소제와 그 전제제물과 함께 여호와께 드려서 번제로 삼을지니 이는 화제라 여호와께 향기로운 냄새며 또 숫염소 하나로 속죄제를 드리며 일 년 된 어린 숫양 두 마리를 화목제물로 드릴 것이요 제사장은 그 첫 이삭의 떡과 함께 그 두 마리 어린 양을 여호와 앞에 흔들어서 요제를 삼을 것이요 이것들은 여호와께 드리는 성물이니 제사장에게 돌릴 것이며 이 날에 너희는 너희 중에 성회를 공포하고 어떤 노동도 하지 말지니 이는 너희가 그 거주하는 각처에서 대대로 지킬 영원한 규례니라

 

 

 

[문제28-1] 다음 민28장과 관련하여 틀린 것을 고르세요.

① 화제는 여호와의 음식이다.

② 여호와의 향기로운 것을 하루에 두 번 정해진 때에 드려야 한다.

③ 상번제는 항상 드려지는 번제를 말한다.

④ 상번제는 시내산에서 정해 주신, 여호와께 드리는 향기로운 화제다.

⑤ 안식일에는 상번제를 드리지 않는다.

 

 

[문제28-2] 다음 민28장과 관련하여 틀린 것을 고르세요.

① 유월절 양을 잡는 자체가 여호와께 제물을 드리는 것이 된다.

② 안식일에는 일 년 되고 흠 없는 숫양 두 마리와 고운 가루 십분의 이에 기름 섞은 소제와 그 전제를 드린다.

③ 초하루에는 수송아지 두 마리와 숫양 한 마리와 일 년 되고 흠 없는 숫양 일곱 마리로 여호와께 번제를 드린다

④ 무교절 이레 동안엔 아무 일도 해선 안 된다.

⑤ 숫염소 한 마리를 속죄제로 드리는 때는 초하루, 무교절, 칠칠절이다.

 

 

[문제28-3] 다음 민28장과 관련하여 틀린 것을 고르세요.

① 드려지는 가축의 크기에 비례하여 소제의 양은 달라진다.

② 무교절에 들어 있는 안식일 다음 날이 보리를 수확하여 흔들어 바치는 초실절이다.

③ 칠칠절에는 번제와 소제를 드리고 전제는 드리지 않는다.

④ 오순절에 여호와께 흔들어 바치는 떡에는 누룩이 들어간다.

⑤ 무교절과 칠칠절에 모든 남자는 여호와를 만나 뵈어야 한다.

 

 

핵심 한 줄

 

⒜ 여호와의 것인 향기로운 화제를 정해진 때에 항상 올려드려야 한다.

⒝ 여호와께서 명절을 주신 것은 하나님뿐 아니라 인간들에게도 기쁨을 주시기 위함이다.

⒞ 이스라엘을 출애굽시켜 주신 일차적인 명분이 여호와께 희생을 드리는 것이다. 

⒟ 날마다 번제를 드리게 하신 이유(이스라엘을 만나 주시려고, 여호와께 제사장 직분을 행하게 하시려고,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자손 중에 거하여 그들의 하나님이 되시려고)를 기억하라.

 

 

암송 구절

2

3

6

9

11

16

17

19

26

27

 

 

정답

[문제28-1]

[문제28-2]

[문제28-3]

 

 

적용

㈎ 여호와께 향기로운 화제를 매일, 안식일, 초하루, 여러 절기에 드리게 하신 이유는 무엇인가?

㈏ 유월절 제물이 다른 명절의 것들과 차이 나는 점은 무엇인가?

 

 

 

Copyright © 2013 by Paul Han

 

blog.daum.net/happyb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