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엘하18장
사무엘하 18장
삼하18장을 천천히 읽으세요.
요약: 다윗이 백성들 위에 천부장과 백부장을 세우고 요압, 아비새, 잇대의 휘하에 백성들을 싸움터로 내보냈다. 에브라임 수풀에서 다윗의 부하들에게 이스라엘 백성이 패하여 전사자가 이만 명에 이르렀다. 압살롬은 요압에게 죽임을 당하고, 그 소식이 다윗에게 전해졌다.
압살롬이 죽임을 당하다 (1~18절)
① 이에 다윗이 그와 함께 한 백성을 찾아가서 천부장과 백부장을 그들 위에 세우고(1절) 다윗이 그의 백성을 내보낼새 삼분의 일은 요압의 휘하에, 삼분의 일은 스루야의 아들 요압의 동생 아비새의 휘하에 넘기고 삼분의 일은 가드 사람 잇대의 휘하에 넘기고 왕이 백성에게 이르되 나도 반드시 너희와 함께 나가리라 하니(2절) 백성들이 이르되 왕은 나가지 마소서 우리가 도망할지라도 그들은 우리에게 마음을 쓰지 아니할 터이요 우리가 절반이나 죽을지라도 우리에게 마음을 쓰지 아니할 터이라 왕은 우리 만 명보다 중하시오니 왕은 성읍에 계시다가 우리를 도우심이 좋으니이다 하니라(3절) 왕이 그들에게 이르되 너희가 좋게 여기는 대로 내가 행하리라 하고 문 곁에 왕이 서매 모든 백성이 백 명씩 천 명씩 대를 지어 나가는지라(4절) ▶ 다윗 왕은 백성들 위에 천부장과 백부장을 세우고, 참전하는 백성들을 각각 1/3씩 요압, 아비새, 그리고 잇대의 휘하에 넘겼다. 자신도 반드시 참전하겠다는 왕을 백성들이 만류했다. ▶▶ 사나 죽으나 다윗 왕을 따르겠다고 한(15:21) 잇대가 군지휘관이 되어 참전하게 되었다. 그와 함께 한 가드 사람 6백 명(15:18)도 당연히 참전했을 것이다. 다윗 자신의 몸에서 난 압살롬은 반역자가 되었고, 이방인 그것도 블레셋 가드 사람인 잇대는 충성자가 되었다.
② 왕이 요압과 아비새와 잇대에게 명령하여 이르되 나를 위하여 젊은 압살롬을 너그러이 대우하라 하니 왕이 압살롬을 위하여 모든 군지휘관에게 명령할 때에 백성들이 다 들으니라(5절) ▶ 다윗은 자신을 위하여 압살롬을너그러이 대우하라고 당부했다. 이는 “Deal gently for my sake with the young man Absalom.”(NASB) 으로 번역되는데, 살살 다뤄달라는 말이다. 당연히 다치게 하거나 (절대로) 죽이지 말라는 뜻이다. 그러나 백성들은 더 심각하게 알아들은 모양이다. “삼가 누구든지 젊은 압살롬을 해하지 말라 하셨나이다”(12절). 이는 “Beware that none touch the young man Absalom.”(젊은 압살롬에게 손대지 않도록 주의하라)(KJV), “Protect for me the young man Absalom!”(NASB)(나-다윗-를 위해 압살롬을 보호하라/지켜라) 등으로 번역되었다. 압살롬이 벌인 반역은 다윗 자신과 집안뿐만 아니라 나라 전체에 위기를 초래한 사건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압살롬을 제거하기는커녕, 손도 대지 말고 지켜달라고 왕이 말한 것으로 백성들은 알아들었다.
③ 이에 백성이 이스라엘을 치러 들로 나가서 에브라임 수풀에서 싸우더니(6절) 거기서 이스라엘 백성이 다윗의 부하들에게 패하매 그 날 그 곳에서 전사자가 많아 이만 명에 이르렀고(7절) 그 땅에서 사면으로 퍼져 싸웠으므로 그 날에 수풀에서 죽은 자가 칼에 죽은 자보다 많았더라(8절) ▶ ‘에브라임 수풀’(the forest of Ephraim)은 어디일까? 먼저 ‘에브라임 산지’를 떠올리면 요단 서편이라 생각하게 된다. “이에 그들이 납달리의 산지 갈릴리 게데스와 에브라임 산지의 세겜과 유다 산지의 기럇 아르바 곧 헤브론과”(수20:7). ‘세겜’이 요단 서편에 있음은 분명하므로, 세겜이 속한 에브라임 산지는 요단 서편 지역이다. 그러나 ‘에브라임 수풀’은 요단 동편에 있다고 해야 한다. 다윗은 마하나임에 있었고(17:24), 압살롬은 길르앗 땅에 진을 쳤다(17:26). 그런데 다윗 군대가 압살롬 휘하의 이스라엘을 치러 나갔다고 했으므로, 에브라임 수풀은 길르앗 땅에 속해 있는 지역이라 볼 수 있다. 이미 요단을 건너 동쪽에 있는 쌍방이 굳이 요단강을 다시 건너가 서쪽에서 싸웠을 가능성은 전무하기 때문이다. ▶▶ 8절은 해석상 어려움이 있다. “그 날에 수풀에서 죽은 자가 칼에 죽은 자보다 많았더라” 이 구절을 수10:11 “그들이 이스라엘 앞에서 도망하여 벧호론의 비탈에서 내려갈 때에 여호와께서 하늘에서 큰 우박 덩이를 아세가에 이르기까지 내리시매 그들이 죽었으니 이스라엘 자손의 칼에 죽은 자보다 우박에 죽은 자가 더 많았더라”에 연결지어,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을 수풀(숲)에서 치셨다고 한 경우도 있다. 그러나 아모리 족속의 다섯 왕들을 물리친 전쟁에서는 “여호와께서 하늘에서 큰 우박 덩이를 아세가에 이르기까지 내리시매” 라고 하여 직접 개입하셨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에브라임 수풀에서는 여호와께서 그리하셨다고 볼 여지가 없다. 여호와께서 다윗을 돕고 계신 것은 맞지만, 압살롬의 추종자들을 직접 손대셨다고 보긴 힘들다. 그렇다면 전사자가 이만 명이나 된 전투에서 칼에 죽은 자보다 수풀에서 죽은 자가 많았다는 뜻은 무엇일까? ⓐ“거기서 이스라엘 백성이 다윗의 부하들에게 패하매”(7절) ⓑ“그 땅에서 사면으로 퍼져 싸웠으므로” ⓒ“쳐서 땅에 떨어뜨리지 아니하였느냐”(11절) ⓓ“요압의 무기를 든 청년 열 명이 압살롬을 에워싸고 쳐죽이니라” 에서 약간의 힌트를 얻을 수 있다. 압살롬은 ‘아마사’를 군지휘관으로 세웠지만, 이번 싸움에서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한 모양이다. ‘다윗의 부하들’은 전쟁에 능한 자들인데 (칼을 들었고), 이들을 상대한 건 (칼이 없는) ‘이스라엘 백성’이었다. 패배는 당연했다. 전장에 나온 모든 자들이 칼을 소지한 것은 아니었음을 11절과 15절에서 알 수 있다. 칼 같은 무기가 없는 자들은 맨주먹이나 막대기나 돌 등으로 싸워야 했을 것이다. 전투는 사방 넓은 곳에서 벌어졌고, 그래서 칼에 죽은 자보다 다른 방법이나 이유로 수풀에서 죽은 자가 더 많았다고 한 것으로 보인다. “the forest devoured more people that day than the sword devoured.”(NASB) (그날에 칼이 집어삼킨 것보다 수풀이 더 많은 사람을 집어삼켰다.) 이만 명의 전사자는 “이스라엘 백성이 다윗의 부하들에게 패하매” 라고 한데서 보아 이 숫자는 압살롬에 속한 이스라엘 백성이라고 봄이 적절하겠다.
④ 압살롬이 다윗의 부하들과 마주치니라 압살롬이 노새를 탔는데 그 노새가 큰 상수리나무 번성한 가지 아래로 지날 때에 압살롬의 머리가 그 상수리나무에 걸리매 그가 공중과 그 땅 사이에 달리고 그가 탔던 노새는 그 아래로 빠져나간지라(9절) 한 사람이 보고 요압에게 알려 이르되 내가 보니 압살롬이 상수리나무에 달렸더이다 하니(10절) 요압이 그 알린 사람에게 이르되 네가 보고 어찌하여 당장에 쳐서 땅에 떨어뜨리지 아니하였느냐 내가 네게 은 열 개와 띠 하나를 주었으리라 하는지라(11절) 그 사람이 요압에게 대답하되 내가 내 손에 은 천 개를 받는다 할지라도 나는 왕의 아들에게 손을 대지 아니하겠나이다 우리가 들었거니와 왕이 당신과 아비새와 잇대에게 명령하여 이르시기를 삼가 누구든지 젊은 압살롬을 해하지 말라 하셨나이다(12절) 아무 일도 왕 앞에는 숨길 수 없나니 내가 만일 거역하여 그의 생명을 해하였더라면 당신도 나를 대적하였으리이다 하니(13절) 요압이 이르되 나는 너와 같이 지체할 수 없다 하고 손에 작은 창 셋을 가지고 가서 상수리나무 가운데서 아직 살아 있는 압살롬의 심장을 찌르니(14절) 요압의 무기를 든 청년 열 명이 압살롬을 에워싸고 쳐죽이니라(15절) ▶ 외모로 말하면 압살롬처럼 뛰어난 인물은 없었다. 오죽하면 발바닥부터 정수리까지 흠이 없다고 했겠는가(14:25). 압살롬은 모발이 풍성하다 못해 무겁다고까지 했다(14:26). 이 머리털이 자랑이었겠으나, 이게 문제를 일으키고 말았다. 압살롬이 노새를 타고 가다가 다윗의 부하들과 맞닥뜨리게 되었고, 그의 머리털이 큰 상수리나무 가지에 걸렸고, 그는 나뭇가지에 대롱대롱 매달리고 말았다. 큰 자랑거리가 치명적 문젯거리가 되었다! ▶▶ 요압은 압살롬이 암논을 죽이고 도피했을 때, 압살롬이 아니라 다윗을 위해서 그를 데려오는 계획을 짰었다(14장). 요압은 그 후로 압살롬에게 시달림을 받았다(14:29~30). 그런 압살롬이 역모를 일으켰기 때문인지 요압은 기다렸다는 듯, 다윗 왕의 당부도 무시한 채 압살롬의 심장을 단창으로 찔렀다. 그에 더하여 열 명의 청년들이 쳐죽여(smite) 확인사살까지 했다. 압살롬의 최후는 매우 비참했는데, 이는 다윗을 향한 여호와의 징계가 이뤄진 것이라 하겠다(12:10~11).
⑤ 요압이 나팔을 불어 백성들에게 그치게 하니 그들이 이스라엘을 추격하지 아니하고 돌아오니라(16절) 그들이 압살롬을 옮겨다가 수풀 가운데 큰 구멍에 그를 던지고 그 위에 매우 큰 돌무더기를 쌓으니라 온 이스라엘 무리가 각기 장막으로 도망하니라(17절) 압살롬이 살았을 때에 자기를 위하여 한 비석을 마련하여 세웠으니 이는 그가 자기 이름을 전할 아들이 내게 없다고 말하였음이더라 그러므로 자기 이름을 기념하여 그 비석에 이름을 붙였으며 그 비석이 왕의 골짜기에 있고 이제까지 그것을 압살롬의 기념비라 일컫더라(18절) ▶ 압살롬은 왕자였다. 그가 정상적(?)으로 죽었다면 이렇게 숲속 구덩이에 던져지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가 자신의 이런 마지막을 알리 없었겠지만, 마치 예견이나 한 듯이 살아있을 때 다른 곳에 자기 이름을 기념하는 비석을 세웠다. 그런데 압살롬은 “자기 이름을 전할 아들이 내게 없다고” 했는데, 14:27에는 그가 아들 셋을 낳았다고 기록하고 있다. 어찌된 것인가? 둘 다 맞는 것을 전제로 다음과 같이 해석하기로 한다. ⓐ14:27이 18:18보다 시간상 앞섰다고 보면, 압살롬이 비석을 세울 당시에 세 아들은 죽은 게 된다. ⓑ반대로 18:18보다 14:27이 늦는다고 하면, 압살롬이 아들들을 낳기 전에 비석을 세웠다는 결론에 이른다. 그러나 세 아들을 다 잃었다고 볼 근거는 사실 희박한데(ⓐ), 설령 그랬더라도 죽을 때에도 ‘젊은 압살롬’으로 불린 그였으므로, 자기 이름을 전할 아들이 없다고 하면서 기념 비석을 세운 것이 어색하다. 이 연장선상에서 아들들을 낳기 전에 아들이 없어 자기 이름을 기념하는 비석을 세웠다고 볼 근거는 더 희박하다(ⓑ). ⓒ따라서 압살롬이 자기 이름을 기념하는 비석을 세운 것은, 아들들이 죽었느니 없었느니 따지기보다, 공교롭게도 그의 마지막과 관련이 있다고 해석하는 게 자연스러워 보인다. 왜냐하면 사무엘서의 저자가 이 부분 “그 비석이 왕의 골짜기에 있고 이제까지 그것을 압살롬의 기념비라 일컫더라”에 초점을 맞춘 듯 보이기 때문이다. ▶▶ “왕의 골짜기(the King’s Valley)”는 성경에 단 두 곳만 나오는 고유명사이다. “아브람이 그돌라오멜과 그와 함께 한 왕들을 쳐부수고 돌아올 때에 소돔 왕이 사웨 골짜기 곧 왕의 골짜기로 나와 그를 영접하였고”(창14:17). 따라서 압살롬의 기념비가 세워진 곳도 같은 곳이라 추정할 수 있다.
다윗이 압살롬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다 (19~33절)
① 사독의 아들 아히마아스가 이르되 청하건대 내가 빨리 왕에게 가서 여호와께서 왕의 원수 갚아 주신 소식을 전하게 하소서(19절) 요압이 그에게 이르되 너는 오늘 소식을 전하는 자가 되지 말고 다른 날에 전할 것이니라 왕의 아들이 죽었나니 네가 오늘 소식을 전하지 못하리라 하고(20절) 요압이 구스 사람에게 이르되 네가 가서 본 것을 왕께 아뢰라 하매 구스 사람이 요압에게 절하고 달음질하여 가니(21절) 사독의 아들 아히마아스가 다시 요압에게 이르되 청하건대 아무쪼록 내가 또한 구스 사람의 뒤를 따라 달려가게 하소서 하니 요압이 이르되 내 아들아 너는 왜 달려가려 하느냐 이 소식으로 말미암아서는 너는 상을 받지 못하리라 하되(22절) 그가 한사코 달려가겠노라 하는지라 요압이 이르되 그리하라 하니 아히마아스가 들길로 달음질하여 구스 사람보다 앞질러가니라(23절) ▶ 아히마아스가 요압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그토록 간절히 왕에게 소식을 전하려고 하는지는 알 길이 없다. 요압의 말대로 상을 받으려 했기 때문이었을까? 요압은 측근이 아닌 자를 왕에게 보내어 압살롬이 죽은 소식을 전하려 했다. 좋지 않은 소식을 왕이 잘 아는 사람들이 전하는 게 모양새가 좋아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아히마아스는 한사코 가기를 원했고, 요압은 승낙했다.
② 때에 다윗이 두 문 사이에 앉아 있더라 파수꾼이 성 문 위층에 올라가서 눈을 들어 보니 어떤 사람이 홀로 달려오는지라(24절) 파수꾼이 외쳐 왕께 아뢰매 왕이 이르되 그가 만일 혼자면 그의 입에 소식이 있으리라 할 때에 그가 점점 가까이 오니라(25절) 파수꾼이 본즉 한 사람이 또 달려오는지라 파수꾼이 문지기에게 외쳐 이르되 보라 한 사람이 또 혼자 달려온다 하니 왕이 이르되 그도 소식을 가져오느니라(26절) 파수꾼이 이르되 내가 보기에는 앞선 사람의 달음질이 사독의 아들 아히마아스의 달음질과 같으니이다 하니 왕이 이르되 그는 좋은 사람이니 좋은 소식을 가져오느니라 하니라(27절) 아히마아스가 외쳐 왕께 아뢰되 평강하옵소서 하고 왕 앞에서 얼굴을 땅에 대고 절하며 이르되 왕의 하나님 여호와를 찬양하리로소이다 그의 손을 들어 내 주 왕을 대적하는 자들을 넘겨 주셨나이다 하니(28절) 왕이 이르되 젊은 압살롬은 잘 있느냐 하니라 아히마아스가 대답하되 요압이 왕의 종 나를 보낼 때에 크게 소동하는 것을 보았사오나 무슨 일인지 알지 못하였나이다 하니(29절) 왕이 이르되 물러나 거기 서 있으라 하매 물러나서 서 있더라(30절) ▶ 왕으로서가 아닌 아버지로서 압살롬의 소식을 기다리는 다윗의 마음은, 탕자를 기다리던 아버지(눅15:20)의 심정이 아니었을까? “왕이 이르되 그가 만일 혼자면 그의 입에 소식이 있으리라”(25절) “왕이 이르되 그도 소식을 가져오느니라”(26절) “왕이 이르되 그는 좋은 사람이니 좋은 소식을 가져오느니라”(27절) 모두 압살롬의 안위가 몹시 궁금한 다윗의 마음을 드러내고 있다. 둘이(오)면 소식을 가져오지 않는단 말인가?(25절) ▶▶ 의기양양하게(?) 달려갔던 아히마아스는 왕에게 “그의 손을 들어 내 주 왕을 대적하는 자들을 넘겨 주셨나이다” 라고 보고했지만, “젊은 압살롬은 잘 있느냐” 라는 물음에, “크게 소동하는 것을 보았사오나 무슨 일인지 알지 못하였나이다” 라고 엉터리(거짓) 보고를 하고 말았다. 압살롬이 살아 있기를 바라는 아버지 다윗 왕의 마음을 즉각 알아차렸기 때문이겠다.
③ 구스 사람이 이르러 말하되 내 주 왕께 아뢸 소식이 있나이다 여호와께서 오늘 왕을 대적하던 모든 원수를 갚으셨나이다 하니(31절) 왕이 구스 사람에게 묻되 젊은 압살롬은 잘 있느냐 구스 사람이 대답하되 내 주 왕의 원수와 일어나서 왕을 대적하는 자들은 다 그 청년과 같이 되기를 원하나이다 하니(32절) 왕의 마음이 심히 아파 문 위층으로 올라가서 우니라 그가 올라갈 때에 말하기를 내 아들 압살롬아 내 아들 내 아들 압살롬아 차라리 내가 너를 대신하여 죽었더면, 압살롬 내 아들아 내 아들아 하였더라(33절) ▶ 여전히 “젊은 압살롬은 잘 있느냐” 묻는 왕에게, 구스 사람이 압살롬은 죽었습니다 라고 직설적으로 말하지 않았다. 그는 “내 주 왕의 원수와 일어나서 왕을 대적하는 자들은 다 그 청년”처럼 되기를 원한다고 했다. 구스 사람은 왕 앞에서 지혜롭게(?) 죽음이란 단어나 압살롬이란 이름조차 쓰지 않고 에둘러 말했지만, 왕이 다 알아들었고 마음이 심히 아파 아들 압살롬의 이름을 부르며 울었다. 아들이 먼저 죽는 꼴을 보느니 차라리 내가 죽는 게 낫겠다 라는 생각은 보통 부모의 마음일 것이다. 저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압살롬은 암논이 누이동생 다말을 겁탈한 사건 이후로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피해자로서 힘든 시간들을 지내왔다. 그런 압살롬을 향해 일견 냉정해 보였던 아버지 다윗은 왕위를 찬탈하려 했던 아들이었지만 그의 죽음 앞에 아버지로서의 본 모습을 드러내게 되었다.
[문제18-1] 다음 중 삼하18장의 내용과 다른 것은?
① 다윗이 자기와 함께한 백성들 위에 요압, 아비새, 잇대를 천부장과 백부장 으로 세웠다.
② 다윗이 요압, 아비새, 잇대를 군지휘관으로 세우고, 이들에게 전장으로 나 가는 백성의 1/3씩을 맡겼다.
③ 싸우는 날에 수풀에서 죽은 자가 칼에 죽은 자보다 많았는데, 전사자가 이 만 명에 이르렀다.
④ 다윗이 군지휘관에게 압살롬을 너그러이 대우하라고 했는데, 백성들은 왕 이 압살롬에게 손도 대지 말라고 했다고 생각했다.
⑤ 압살롬이 노새를 타고 가다가 다윗의 부하들과 마주쳤는데, 그의 머리카락 이 상수리나무에 걸렸고 나귀는 빠져나가 그는 공중에 매달리게 되었다.
[문제18-2] 다음 중 삼하18장의 내용 중 틀린 것은?
① 요압이 작은 창 셋을 가지고 가서 상수리나무에 걸려 있는 압살롬의 심장 을 찔렀다.
② 압살롬은 수풀 가운데 큰 구덩이에 던져져 매장되었고, 온 이스라엘 무리 는 각기 장막으로 도망했다.
③ 압살롬은 아들을 낳은 일이 없으므로 자신의 이름을 기념하는 비석을 세 웠는데, 그것이 왕의 골짜기에 있고 그것을 압살롬의 기념비라 부른다.
④ “왕이 이르되 그는 좋은 사람이니 좋은 소식을 가져오느니라” 라고 한데 서 압살롬을 몹시 걱정하고 있는 다윗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
⑤ 구스 사람은 왕에게 압살롬의 죽음을 “내 주 왕의 원수와 일어나서 왕을 대적하는 자들은 다 그 청년과 같이 되기를 원하나이다” 라고 보고했다.
정답
[문제18-1] ①
[문제18-2] ③
Copyright © 2022 by Paul Han
blog.daum.net/happyb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