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수기 9장
민9장을 천천히 읽으세요.
요약: 유월절을 대대로 지키라고 하신 여호와께서 두 번째 유월절을 지키라고 하신다. 유월절을 부득이하게 지킬 수 없는 자들은 원래의 유월절보다 한 달 늦게 지킬 수 있게 하셨다. 구름이 성막에 머무르고 떠오르는 것에 따라 이스라엘 자손은 진을 치거나 행진하였다.
두 번째 유월절을 지키라
① 첫 번째 유월절은 출애굽 시에 지켜졌으며, 두 번째 유월절을 지키라는 본 장의 명령은 성막이 세워진 직후(출40:2)에 내려졌다고 추정할 수 있다.
② 첫 번째 유월절이 종살이에서의 구원과 생명을 얻게 한 유월절이라면, 두 번째 유월절은 자유롭게 된 신분에서 지키는 첫 유월절이 된다.
③ 유월절은 ㉠애굽 땅의 처음 난 것을 다 치신 ㉡애굽의 모든 신을 심판하신㉢어린 양의 피가 이스라엘 자손을 위하여 표적이 된 ㉣여호와께서 그 피를 볼 때에 이스라엘을 멸하지 않고 넘어가신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출12:12~13). 이스라엘은 유월절을 ⓐ여호와의 절기로 삼아 ⓑ영원한 규례로 ⓒ대대로 지켜야 한다(출12:14).
④ 두 번째 유월절을 ㉠정해진 때 즉 첫째 달-아빕월- 열 넷째 날 해 질 때 ㉡가나안에 들어간 후가 아니라, 시내 광야에서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신 것을 다(everything) 따라-모든 율례와 규례대로- 지켰다(5절).
⑤ 유월절을 지키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는 사람-부정하지도 않고, 여행 중에 있지도 않은 사람-이 지키지 않으면 그 백성 중에서 끊어지는데, 이런 사람은 그 정한 기일에 여호와께 헌물을 드리지 아니하였기에 자신의 죄를 담당한다(13절). ※ ‘끊어진다’는 것은 ㉠하나님께서 직접 손을 쓰신다 ㉡이스라엘 백성 중에 더불어 살 수 없게 된다는 뜻이다.
⑥ 타국인이 이스라엘 중에 거류하여 여호와 앞에 유월절을 지키고자 하면 유월절 율례대로 그 규례를 따라서 행하는데, 거류민에게나 본토인에게나 그 율례는 동일하다(14절).
유월절 규례의 예외 상황
① 사람의 시체로 말미암아 부정하게 되었다든지, 먼 여행 중에 있어서 유월절을 지킬 수 없는 사람들에게 적용된다(6절, 10절). 앞의 5장에 따르면, 시체로 인해 부정하게 된 자 외에도 한센병 환자나 유출증이 있는 자는 진영 밖으로 내보내져야 한다. 이런 자들이 진영 밖으로 나가야 하는데, 한센병 환자나 유출증 환자는 병이 낫기까지 진영 안으로 들어올 수 없었다. 시체로 인해 부정해 진 자는 7일 뒤에는 들어올 수 있었으므로 예외 규정에 따라 유월절을 지킬 수 있게 하셨다. 따라서 한센병 환자나 유출증 환자도 정한 유월절 즉 첫 달 14일에는 진영 밖에 있어서 지키지 못했다 하더라도, 둘째 달 14일 이전에 병이 낫고 모든 정결 절차를 마칠 수 있다면 예외적 유월절을 지킬 수 있다 라고 해야 할 것이다.
② 7절의 ‘정한 기일에 여호와께 헌물을 드리지 못하게 하심’은 무슨 뜻일까(13절도 동일)? 유월절에 어떤 헌물(offering 예물)을 드리는가를 살펴보자. 유월절에는 ㉠이스라엘 온 회중이 어린 양을 취하고 ㉡이스라엘 회중이 그 양을 잡고 ㉢그 피를 바르고-뿌리고- ㉣불에 구워 먹고, 남은 것은 불사른다. ※ 이와 같은 절차는 레위기에서 본 것처럼, 여호와께 예물을 드리는 절차와 같거나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유월절은 이스라엘 자손이 정해진 날 정해진 시간에 전체로서 헌물을 드리는 절기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유월절 제사를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주신 각 성에서 드리지 말고 오직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자기의 이름을 두시려고 택하신 곳에서 네가 애굽에서 나오던 시각 곧 초저녁 해 질 때에 유월절 제물을 드리고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택하신 곳에서 그 고기를 구워 먹고 아침에 네 장막으로 돌아갈 것이니라”(신16:5~7).
③ 부정하게 된 자들의 탄원(7절)과 모세의 문의(8절)를 통해 알 수 있는 교훈은 무엇일까? 그것은 유월절을 지키는 것이 의무가 아니라, 그 누구라도 예외 없이 자발적으로 헌물을 드리며 여호와의 절기를 기념해야 하는 날이라는 사실이다.
④ 예외적 유월절은 둘째 달 열 넷째 날 해 질 때에 지키는데, 어린 양에 무교병과 쓴 나물을 아울러-함께- 먹는다(11절). 아침까지 그것을 조금도 남겨두지 말며 그 뼈를 하나도 꺾지 말아서 유월절 모든 율례대로 지켜야 한다(12절).
성막과 구름
① 성막을 세운 날에(출40:2) 구름이 성막 곧 증거의 성막을 덮었고 저녁이 되면 성막 위에 불 모양 같은 것이 나타나서 아침까지 이르렀는데, 항상 그러했다(15~16절). 밤이 되면 구름이 사라지고 불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그 구름 가운데에 불이 있었다(출40:38). 이는 이스라엘 자손을 밤낮으로 인도하던 구름기둥과 불기둥이 이제는 성막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말해준다. ※ 이 구름은 하늘에 떠다니는 구름이 아니라, 영광의 현현顯現(Shekinah)을 의미한다(출40:34~35, 계1:7 참조).
② 구름이 성막에서 떠오르는 때에는 이스라엘 자손이 곧 행진하였고 구름이 머무는 곳에 이스라엘 자손이 진을 쳤다(17절).
③ 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의 명령을 따라 행진하였고 진을 쳤다(18,23절). 구름이 성막 위에 머무는 날이 길건(1년) 짧건(2일) 간에 구름을 통해 말씀하시는 여호와의 명령을 따라 진영에 머물거나 행진하였다(19~20,22절). 이를 통해 이스라엘 자손을 인도하는 분은 여호와이심을 알 수 있다.
④ “㉠혹시 구름이 저녁부터 아침까지 있다가 아침에 그 구름이 떠오를 때에는 그들이 행진하였고 ㉡구름이 밤낮 있다가 떠오르면 곧 행진하였으며”(21절). ㉠은 저녁부터 아침까지 단 하루만 머무르다가 떠난다는 뜻이고, ㉡은 밤에라도 구름이 떠오르면 출발한다는 뜻이다. ※ ㉠은 어느 지역에 저녁에 도착했는데, 구름이 아침이 되자마자 떠오르더라도 길을 떠났다는 뜻이다.
⑤ 전체로서의 이스라엘을 이끄시는 분은 여호와시고, 모세는 ‘여호와의 직임’(the LORD’s order/ the LORD’s charge)을 전달하는 전달자이다(23절).
[문제9-1] 다음 민9장의 유월절과 관련하여 틀린 것을 고르세요.
① 두 번째 유월절은 광야에서 지키는 첫 유월절이요 자유로운 신분에서 지키는 첫 유월절이다.
② 거류민에게나 본토인에게나 유월절 율례는 동일하다
③ 이유 없이 유월절을 지키지 않으면 백성 중에서 끊어진다.
④ 이스라엘 자손은 첫째 달 14일이나 둘째 달 14일 중에서 자유롭게 유월절을 지킬 수 있다.
⑤ 유월절은 어린 양의 피가 이스라엘 자손을 위하여 표적이 된 것을 기념하는 절기다.
[문제9-2] 다음 민9장의 유월절과 관련하여 명백히 틀린 것을 고르세요.
① 유월절은 이스라엘 자손이 정해진 날 정해진 시간에 전체로서 헌물을 드리는 절기라고 할 수 있다.
② 유월절 어린 양을 잡는 것이 여호와께 헌물을 드리는 것이라 할 수 있다.
③ 둘째 달에 지키는 예외적 유월절은 부정한 자의 정결케 된 여부와 상관없이 지킬 수 있는 유월절이다.
④ 예외적 유월절도 유월절 모든 율례대로 지켜야 한다.
⑤ 유월절을 지키지 않는 사람은 그 정한 기일에 여호와께 헌물을 드리지 아니하였기에 자신의 죄를 담당한다.
[문제9-3] 다음 민9장과 관련하여 틀린 것을 고르세요.
① 홍해를 건너기 전까지 이스라엘을 인도했던 구름기둥과 성막을 덮은 구름은 전혀 별개의 것이다.
② 구름이 성막에서 떠오르는 때에는 이스라엘 자손이 행진하였고 구름이 머무는 곳에 이스라엘 자손이 진을 쳤다.
③ 밤에는 성막 위 구름 가운데 불이 있었다.
④ 구름이 성막에 머무르고 떠오르는 것에 따라 이스라엘 진을 이끄신 분은 여호와시다.
⑤ 어느 곳에 도착한지 단 하루 밖에 안됐든지, 출발하는 때가 밤이든지 관계없이 구름이 떠오르면 출발해야 한다.
핵심 한 줄
⒜ 유월절은 여호와께 헌물을 드리는 절기이다.
⒝ 여호와께서 구름을 통해 이스라엘 자손을 직접 인도하신다.
암송 구절
1절
2절
3절
5절
10절
11절
12절
13절
15절
18절
21절
23절
정답
[문제9-1] ④
[문제9-2] ③
[문제9-3] ①
적용
㈎ 유월절의 의미를 유월절 어린 양 되신 예수 그리스도와 관련하여 설명해 보자.
㈏ 이스라엘 자손을 인도한 구름은 어떤 구름인가?
Copyright © 2013 by Paul Han
blog.daum.net/happyb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