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위기 11장
레11장을 천천히 읽으세요.
요약: 11장부터 15장까지는 이스라엘 자손의 정결에 대해 말씀하신다. 본 장에서는 정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려주신다. 육지에 사는 생물, 물에 사는 생물, 새 종류, 곤충 종류, 땅에 기는 부정한 짐승 순으로 정부정한 생물이 구분된다. 이 규례에 의해 먹을 생물과 먹지 못할 생물로 나뉜다. 여호와께서는 이스라엘 백성의 하나님이 되시려고 그들을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셨다. 여호와께서 거룩하시니 그들도 거룩하라 하신다.
본 장의 위치
① 앞의 10장에서 예고된 대로(10절), 본 장은 이스라엘 자손이 땅을 딛고 살아갈 동안에 그 땅에 있는 피조물 중에서 정결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을 구별해 주셨다. 정결한 짐승은 먹을 수 있고, 부정한 짐승은 먹을 수 없게 하셨다.
② 정한 것(the clean)과 부정한 것(the unclean)의 판단 기준은 하나님께서 정하신다. 사람은 그 기준대로 따르기만 하면 된다.
③ 이스라엘 자손은 가나안의 이방 족속들과는 무언가 다른 삶을 살아야 한다. 여호와께서는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몸을 구별하여 거룩하라고 하신다. 정결 규례가 구체적으로 시작되는 장이 본 장이다.
육지 짐승 중 먹을 수 있거나 먹을 수 없는 생물 (2~8절)
① 먹을 수 있는 기준: 굽(hoof)이 두 개로 갈라져 쪽발(split hoofs)이 되고, 새김질하는 동물은 먹을 수 있다.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굽이 둘로 갈라진 반추동물이 그것이다. 이에는 소, 양, 염소가 대표적이다. 이 가축들은 여호와께 제물로 드려지는 정결한 짐승이기도 하면서 사람들이 먹을 수 있는 정결한 짐승이다.
② 약대: 낙타(camel)를 말하는데, 새김질은 하지만 굽이 갈라지지 않아 부정하므로 먹지 못한다(4절).
③ 사반: 오소리(badger)를 말하며, 새김질은 하되 굽이 갈라지지 않았으므로 부정한 것이 약대와 같다(5절). 오늘날에도 오소리는 좋지 않은 이미지로 알려진 짐승이다. (예) badger game 미인계
④ 토끼: 실제로 토끼는 반추동물이 아니므로 되새김질을 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토끼가 계속 입을 움직이고 있어 당시 사람들이 새김질을 한다고 생각했을 것이기에 ‘토끼도 새김질은 하되’ 라고 하셨으리라 생각된다. 토끼가 새김질을 하는 여부에 상관없이, 굽이 갈라지지 않았으므로 부정한 짐승이다(6절).
⑤ 돼지: 굽이 갈라져 쪽발이지만 새김질을 하지 않기에 부정하다(7절).
⑥ 이스라엘 자손은 이와 같이 부정한 고기를 먹지 말고 그 주검도 만지지 말아야 한다(8절). 행10:15을 가지고 처음부터 부정한 짐승은 없었다고 해석하기도 하는데 이는 옳지 않다. 정부정(淨不淨)의 규례는 모세 당시의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유효했고, 현재의 이스라엘 자손들도 여전히 지키고 있는 규정이라고 하겠다. 베드로가 본 환상은 이방인을 향하신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알려주신 것이지만, 역시 정하고 부정한 것의 기준은 하나님께서 정하신다는 것을 말씀하시는 구절도 된다.
물에 사는 생물 중 먹을 수 있는 것과 먹을 수 없는 것 (9~12절)
① 강이나 바다, 다른 물 등 어디에 사느냐에 상관없이 지느러미(fin)와 비늘(scale)이 있는 것은 먹을 수 있다(9절). 다른 물은 호수나 연못 등을 지칭한다고 하겠다.
② 반대로 지느러미와 비늘이 없는 것은 가증한(abhorrent, detestable) 것이 된다(10,12절). 이 조건은 위의 육상 생물과 마찬가지로 지느러미와 비늘 두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시켜야 한다. 가령 지느러미는 있는데 비늘이 없다거나, 지느러미는 없고 비늘이 있어도 가증한 것이 된다.
③ 이것들은 이스라엘 자손에게 가증하므로 고기를 먹어선 안되고 그 주검을 가증히 여겨야 한다(11절).
새 중에 가증한 것 (13~19절)
① 가증히 여길 조류는 조건이 나열되지 않고 단순히 새의 종류로만 나열되고 있는데, 주로 맹금류와 박쥐 등이라고 하겠다. 이들도 역시 먹어선 안된다.
② 독수리, 솔개, 어응(흑수리), 매, 매 종류, 까마귀 종류, 타조, 다호마스(올빼미), 갈매기, 새매 종류, 올빼미, 노자(가마우지), 부엉이, 따오기(흰올빼미), 당아(펠리칸), 올응(까치), 학, 황새 종류, 대승(후투티), 박쥐 등이 가증하다.
가증한 곤충과 먹을 수 있는 곤충 (20~23절)
① 날개가 있고 네 발로 기어다니는 곤충은 가증하다(20,23절). 23절의 ‘기어다니는’ 은 ‘네 발로 기어다니는’ 이다. 그러면 지네나 돈벌레처럼 발이 4개 이상인 곤충은 해당이 안된다는 말일까? 그렇지 않다고 해야 한다. 본 장에서 언급되고 있는 곤충 대부분이 ‘뛰는 다리’를 제외하고 다리가 4개이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② 그러나 날개가 있고 네 발로 기어다니는 모든 곤충 중에서 그 발에 뛰는 다리가 있어서 땅에서 뛰는 것은 먹을 수 있다. 먹을 수 있는 곤충이냐 아니냐를 구분하는 기준은 ‘뛰는 다리’의 유무다. 이에 따라 ㉠메뚜기 종류와 ㉡베짱이 종류와 ㉢귀뚜라미-귀뚜라미는 실제로 날개는 없지만 뛸 수 있다- 종류와 ㉣팟종이(팥중이) 종류는 먹을 수 있다(21~22절). 이하 ㉠㉡㉢㉣ 순으로 여러 다른 번역을 보기로 하자.
③ KJV ㉠locust (군집성) 메뚜기 ㉡bald locust 흰머리 메뚜기 ㉢beetle 딱정벌레 종류를 말하는데, 흠정역의 번역상 오류로 생각된다. ㉣grasshopper (비군집성) 메뚜기 ※ locust 와 grasshopper 는 모두 메뚜기로 번역되는데, 여기서는 locust 를 군집성 메뚜기 즉 떼를 지어 농작물 등에 피해를 주는 메뚜기로, grasshopper 를 그렇지 않은 비군집성 메뚜기로 번역하기로 한다.
NIV ㉠locust ㉡katydid 여치 ㉢cricket 귀뚜라미 ㉣grasshopper
NLT ㉠locust ㉡cricket ㉢bald locust ㉣grasshopper
NASB ㉠locust ㉡devastating-황폐화시키는, 파괴하는- locust ㉢cricket ㉣grasshopper
최의원편저 ㉠계절메뚜기 ㉡살암-히브리말을 음역한 것으로 뜻을 알 수 없음-메뚜기 ㉢할골(hargol (히)뛰다,질주하다 라는 뜻) 메뚜기 ㉣베짱이
허성갑번역 ㉠메뚜기 ㉡방아깨비 ㉢귀뚜라미 ㉣베짱이
현대어성경 ㉠메뚜기 ㉡방아깨비 ㉢누리 ㉣귀뚜라미
부정한 생물로 인해 부정해 지는 경우 (24~28절)
① 위에 언급된 모든 종류는 이스라엘 자손을 부정케 하므로 누구든지 이것들의 주검을 만지면 저녁까지 부정하다(24절).
② 그 주검을 옮기는 자는 자신의 옷을 빨아야 하고 저녁까지 부정하다(25절).
③ 굽이 둘로 갈라져 쪽발이 되지 않은 것이나, 새김질을 하지 않는 것의 주검은 다 부정하기에 만지는 자는 부정해진다(26절).
④ 네 발로 다니는 모든 짐승 중 발바닥(paw)으로 다니는 것은 다 부정하므로 그 주검을 만지는 자는 저녁까지 부정하다(27절). 네 발로 다니는 짐승 중 굽(hoof)이 없이 발바닥(paw)으로 다니는 것들이 부정하다.
⑤ ③과 ④의 주검을 옮기는 자는 그 옷을 빨아야 하고 저녁까지 부정하다(28절). 이스라엘의 하루 계산법은 당일 저녁부터 익일 저녁까지를 하루로 본다. 따라서 저녁 이전에만 부정하게 되었다면-예를들어
땅에 기는 것 중 부정한 것들 (29~38, 41~45절)
① 땅에서 긴다(swarming)는 의미는 ㉠배로 밀어 다니는 것 ㉡네 발로 걷는 것 ㉢여러 발을 가진 것 등을 말하는데(42절), 한 마디로 표현하면 주로 땅에 붙어 사는 종류를 지칭한다.
② 족제비, 쥐, 도마뱀 종류, 합개(도마뱀붙이), 육지 악어, 수궁(도마뱀), 사막 도마뱀(모래 도마뱀), 칠면석척(카멜레온) 등이 그것이다(29~30절).
③ 이것들의 주검을 만지는 자는 저녁까지 부정하다(31절).
④ 이런 것 중 어떤 것의 주검이 목기(木器), 의복, 가죽, 부대(sack), 기타 무엇에 쓰는 그릇에든지 떨어지면 부정하여지므로 물에 담가야 한다. 그리하면 저녁까지 부정하다가 정하게 된다(32절).
⑤ 이것들 중 어떤 것이 어느 질그릇에 떨어지면 그 속에 있는 것이 다 부정해지므로 그 그릇을 깨뜨려야 한다(33절).
⑥ 먹을 수 있는 축축한 식물이 거기 담겼으면 부정해지고, 그같은 그릇의 마실 것도 부정할 것이다(34절).
⑦ 이런 것의 주검이 물건 위에 떨어지면 그것이 모두 부정하여지므로 화덕이든지 질탕관-또는 화로-이든지 깨뜨려 버려야 한다(35절).
⑧ 샘물이나 방축 물 웅덩이에 주검이 닿아도 부정해지지 않고, 그 주검에 닿는 것만 부정해진다(36절).
⑨ 이들의 주검이 심을 종자에 떨어지더라도 그 종자는 정하지만, 종자에 물을 더할 때-종자에 물을 부어 두었을 때- 주검이 그 위에 떨어지면 부정하다(37~38절).
⑩ 땅에 기어다니는 모든 것은 가증한즉 먹어서는 안된다(41절). ※ 땅에 기는 생물은 정결해지는 조건이 없다. 고로 정결한 생물이 없다.
⑪ “나는 여호와 너희 하나님이라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몸을 구별하여 거룩하게 하고 땅에 기는 바 기어다니는 것으로 인하여 스스로 더럽히지 말라.”(44절). “나는 너희의 하나님이 되려고 너희를 애굽-미쯔라임- 땅에서 인도하여 낸 여호와라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할지어다.”(45절).
⑫ 여호와 하나님께로부터 뱀이 저주를 받은 이후로(창3:14), 땅에 기는 짐승의 대명사인 뱀과 그 외에 땅에서 기는 모든 생물은 부정한 것이 되었다. 이런 류를 가까이 하거나 접하면, 가증하게 되고 스스로 더럽혀 부정하게 된다(43절).
먹을 수 있는 짐승으로 부정해지는 경우 (39~40절)
① 먹을 수 있는 짐승이 죽었을 때 그 사체를 만지는 자는 저녁까지 부정하다(39절). 40절을 유추하면 이 짐승을 먹으려고 도살한게 아니라 스스로 죽었거나 사고 등으로 죽은 것임을 알게 된다.
② 그 죽은 짐승을 먹는 자는 그 옷을 빨아야 하고, 저녁까지 부정하고, 그 주검을 옮기는 자도 그 옷을 빨 것이요 저녁까지 부정하다(40절).
[문제11-1] 다음 레11장과 관련하여 틀린 것을 고르세요.
① 굽이 갈라진 개수는 상관이 없다.
② 정결한 육지 짐승은 굽이 갈라져 쪽발이 되고 새김질하는 짐승이다.
③ 사반, 약대, 돼지, 토끼는 부정한 짐승이다.
④ 날개가 있고 네 발로 기어다니는 곤충은 가증하다.
⑤ 먹을 수 있는 곤충이냐 아니냐를 구분하는 기준은 ‘뛰는 다리’의 유무다.
[문제11-2] 다음 레11장과 관련하여 틀린 것을 고르세요.
① 먹을 수 있는 곤충은 주로 메뚜기 종류라고 할 수 있다.
② 수중 생물은 지느러미나 비늘 중 한 가지만 있다면 정결하다.
③ 강, 바다, 호수, 연못 등 아무 물이나 수중 생물이 사는 곳은 상관없다.
④ 땅에 기는 생물은 정결해지는 조건이 없다.
⑤ 네 발로 다니는 짐승 중 굽(hoof)이 없이 발바닥(paw)으로 다니는 것들이 부정하다.
[문제11-3] 다음 레11장과 관련하여 틀린 것을 고르세요.
① 족제비, 쥐, 도마뱀 종류, 합개, 육지 악어, 수궁, 사막 도마뱀, 칠면석척 등은 땅에 기는 부정한 짐승들이다.
② 땅에 기어다니는 모든 것은 가증한즉 먹어서는 안된다.
③ 땅에 기는 것의 주검이 목기(木器), 의복, 가죽, 부대(sack), 기타 무엇에 쓰는 그릇에든지 떨어지면 부정하여지므로 물에 담가야 한다.
④ 먹을 수 있는 짐승이 죽었을 때는 그 사체를 만져도 부정해지지 않는다.
⑤ 주로 맹금류가 부정한 새라고 할 수 있다.
핵심 한 줄
⒜ 정부정의 규례는 하나님께서 정하신다.
⒝ 하나님께서 거룩하시니 우리도 세상과 구별되어 거룩해져야 한다.
⒞ ‘정결’하려면, ‘구별’되어야/ ‘구별’해야 한다.
암송 구절
3절
8절
9절
12절
20절
21~22절
27절
41절~42
44~45절
정답
[문제11-1] ①
[문제11-2] ②
[문제11-3] ④
Copyright © 2011 by Paul Han
blog.daum.net/happyb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