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서 썸네일형 리스트형 히브리서5장 히브리서 5장 히5장을 천천히 읽으세요. 요약: 대제사장은 하나님께서 주신 존귀로 세워진 자이다. 그리스도는 멜기세덱의 반차를 따르는 영원한 대제사장이시다. 그리스도께서 대제사장 되심도 스스로 영광을 취하신 게 아니라 하나님께서 주신 것이다. 그리스도는 아들이시면서도 고난을 받으셨고 순종하심으로써 영원한 구원의 근원이 되셨다. 그리스도는 영원히 멜기세덱의 반차를 따르는 대제사장이시다 (1~14절) ① 대제사장마다 사람 가운데서 택한 자이므로 하나님께 속한 일에 사람을 위하여 예물과 속죄하는 제사를 드리게 하나니(1절) ▶ 대제사장은 ㉠ 사람 가운데서 택한 자여야 한다. 다른 말로 하면 사람이어야 한다. ㉡ 하나님께 속한 일을 사람(백성)을 위하여,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 제사 즉 화목제(예물을 드.. 더보기 히브리서4장 히브리서 4장 히4장을 천천히 읽으세요. 요약: 우리는 하나님의 안식에 들어가는 일에 있어서, 이르지 못하는 자가 있 을까 두려워해야 한다. 우리는 저 안식에 들어가도록 힘써야 한다. 하나님의 말씀은 우리의 결산을 받으실 이의 눈 앞에 벌거벗은 것 같이 드러나게 할 것이다. 큰 대제사장이신 예수님은 우리를 은혜의 보좌 앞으로 담대히 나아갈 수 있도록 하신다. 두려워하며 힘쓰라 (1~11절) ① 그러므로 우리는 두려워할지니 그의 안식에 들어갈 약속이 남아 있을지라도 너희 중에는 혹 이르지 못할 자가 있을까 함이라(1절) ▶ 두려움은 어떤 종류의 두려움인가? awe(경외심으로 인한 두려움)가 아니라 fear(공포로 인한 두려움)이다. 무엇을 두려워해야 하는가? 하나님의 안식에 이르지 못할 것을 두려워해야 한.. 더보기 히브리서3장 히브리서 3장 히3장을 천천히 읽으세요. 요약: 모세는 하나님의 집에 신실했고, 예수님도 그러셨지만 모세보다 더욱 영광을 받을 분이다. 출애굽한 이스라엘 자손은 마음이 미혹되어 하나님의 길을 알지 못했다. 그로 인해 진노하심을 받아 하나님의 안식에 들어가지 못했다. 그러나 하늘의 부르심을 받은 거룩한 형제들인 너희는 그 길을 따르지 말라고 하고 있다. 예수를 깊이 생각하라 (1~6절) ① 그러므로 함께 하늘의 부르심을 받은 거룩한 형제들아 우리가 믿는 도리의 사도이시며 대제사장이신 예수를 깊이 생각하라(1절) ▶ “함께 하늘의 부르심을 받은 거룩한 형제들”이 히브리서의 청자가 누군지를 확실히 알게 하는 구절이다. ▶▶ 하늘의 부르심을 받은 거룩한 우리들과 예수 그리스도를 절대로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다... 더보기 히브리서2장 히브리서 2장 히2장을 천천히 읽으세요. 요약: 하나님께서 베푸신 큰 구원을 등한히 여기면 보응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이 구원은 처음에 주님이 말씀하신 것이고, 하나님께서도 친히 증언하신 것이다. 우리 주님은 구원의 창시자로서 고난을 통해 많은 아들들을 이끌어 영광에 들어가게 하셨다. 또한 주님은 하나님의 일에 자비하고 신실한 대제사장이 되셔서 백성의 죄를 속량하셨다. 구원을 등한히 여기지 말라 (1~9절) ① 그러므로 우리는 들은 것에 더욱 유념함으로 우리가 흘러 떠내려가지 않도록 함이 마땅하니라(1절) ▶ 들은 것은 하나님께서 선지자와 아들을 통해 말씀하신 것(1:1~2)이다. “For this reason we must pay much closer attention to what we have .. 더보기 히브리서1장 히브리서 1장 히1장을 천천히 읽으세요. 요약: 하나님의 아들이 계심을 선언하고 있다. 그 아들은 예수 그리스도시다. 하나님께서 친히 이 아들에 대해 말씀하신 것을 구약의 말씀들을 통해 확인하게 된다. 하나님의 아들은 천사와는 비교조차 할 수 없는 위대한 분이다. 히브리서 개요 ① 히브리서의 저자: 미상 ② 기록 연대: AD 64~67년 경 ③ 목표한 독자: 예수를 메시아로 믿는(믿어야 하는) 유대인들. 그렇다면 유대인이 아닌 자들은 읽을 필요가 없는가? 아니다. 본서의 핵심 단어 “예수의 피”(10:19) “그리스도의 피”(9:14)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만이 구원을 주시는 유일한 길임을 우리 모두에게 증언한다. ④ 본서를 잘 이해하는 방법: 최대한 유대인 관점에서 읽는다. 그래서..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