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위기

레위기2장

 

레위기 2장

 

2장을 천천히 읽으세요.

 

요약: 누구든지 소제의 예물을 여호와께 드릴 수 있다고 하신다. 소제물을 드리는 방법엔 고운 가루/볶아 찧은 가루에 올리브 오일과 유향을 더하거나, 화덕에 굽거나 번철에 부치거나 하는 등이 있다. 소제물엔 누룩이나 꿀이 들어가서는 안되고, 소금은 반드시 들어가야 한다.

 

 

누구든지 소제의 예물을 여호와께 드리려거든 고운 가루로 예물을 삼아 그 위에 기름을 붓고 또 그 위에 유향을 놓아 (1절)

아론의 자손 제사장들에게로 가져 올 것이요 제사장은 그 고운 기름 가루 한 줌과 그 모든 유향을 취하여 기념물로 단 위에 불사를지니 이는 화제라 여호와께 향기로운 냄새니라 (2절)

그 소제물의 남은 것은 아론과 그 자손에게 돌릴지니 이는 여호와의 화제 중에 지극히 거룩한 것이니라 (3절)

 

① 소제(a grain offering)는 곡물로 드리는 제사를 일컫는다. 5대 제사 중 유일하게 피흘림이 없는 제사이다. 드리려는 자는 곡물을 곱게 갈아 기름-올리브 오일-을 붓고, 유향(frankincense)을 그 위에 두고(put)-고운 가루에 섞는게 아니고, 가루 위에 살짝 얹어왔다는 의미- 아론의 자손 제사장들에게 가져 온다. 소제 중 첫번째 형태이다. 뒤의 14~16절에는 첫 이삭을 소제로 드릴 경우에 약간 다른 규정이 나온다.

② 제사장은 기름을 부은 고운 가루 한 줌(handful)과 가져 온 유향 전부를 취하여 기념물로 단 위에 불살라 화제로 드린다. 이것도 역시 여호와께 향기로운 냄새가 된다. 가축을 태워 드린 것이나(1:9,13,17), 곡물에 기름과 유향을 더하여 태워 드린 것이나 모두 여호와께 향기로운 냄새가 된다. 소제에서는 기름과 유향이 첨가되는 것이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곡물 가루만을 곱게 갈아 드려서는 안되고, 기름과 유향이 추가돼야만 한다. 기름과 유향이 추가됨으로 인해 구별되고, 거룩하게 된다(출30:25~30, 34~37; 40:9~11 등). 여기에 또한 소금이 반드시 더해져서(season), 보잘 것 없는 곡물 가루는 여호와께서 받으실 만한 소제가 된다.

③ 소제물의 남은 것이 여호와께 화제로 드려지는 것보다 훨씬 많았을 것이다. 제사장에게로 가져 온 소제물 중에서 한 줌 만을 여호와께 드렸기 때문이다(2절). 9~10절에 의해서도 소제물 중의 일부만이 여호와께 드려졌음을 알 수 있다. 여호와께서는 그 남은 것을 아론과 그의 자손-아들들-에게 돌리라고 하신다. 즉 아론과 그의 아들들이 갖도록 하셨다. 3절에 의하면 아론과 그의 아들들에게 돌아가는 부분-소제물의 남은 것-이 여호와의 화제 중에 지극히 거룩한 것이라고 하셨다고 볼 수 있다. 이미 소제물을 거룩하게 하셨고, 기념물로 단 위에서 태워져 드려졌는데, 제사장에게 돌아갈 남은 것도 여전히 ‘지극히 거룩한’ 것인가? 그렇다고 해야 한다. 이 부분에서 제사장이 거룩한 것을 차지하게 됐다는 점에 촛점을 두면 안된다. 여호와께서는 드려지는 소제물 중 일부를 받으시는 형식을 취하시고, 거룩하게 구별된 나머지를 제사장에게 돌리게 하심으로써, 제사장을 돌보시고 하나님께 대한 사랑을 확인하신다. 여호와께 소제 예물을 드리려는 사람들이 많아질수록 하나님께서 기뻐하실 것이고, 부수적으로 제사장에게 돌아갈 몫이 많아지는 것이다. 요약한다면 여호와께서는 일부만 받으시는 모습을 보이셨지만, 아론 집안에 돌아갈 나머지도 다 받으신 것으로 간주하신다는 의미가 된다고 하겠다. 그래서 3절과 10절 하반절에서 ‘이는 여호와의 화제 중에 지극히 거룩한 것이니라’ 라고 말씀하시는 것이다.

④ 본 장 2절,9절,16절의 ‘기념물’ ‘기념할 것’은 ‘memorial portion 기념하는 부분’ 으로서, 실제적으로 전체를 다 드리는 대신에 일부를 드리도록 하시면서 그 드려지는 부분을 특별히 지칭하시는 표현이다.

⑤ 권리가 주어지면 그에 상응한 의무도 반드시 부과된다. 지극히 거룩한 것을 받은 제사장은 이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만큼 구별되고 성별된 거룩한 삶을 살아야 한다. 제사장은 거룩하신 하나님과 세상에 사는 사람을 연결하는 통로가 되기 때문이다. ‘이는 여호와의 화제 중에 지극히 거룩한 것이니라’ 는 구절은 복과 경계(경고)가 동시에 들어 있는 말씀이다.

 

 

네가 화덕에 구운 것으로 소제의 예물을 드리려거든 고운 가루에 기름을 섞어 만든 무교병이나 기름을 바른 무교전병을 드릴 것이요 (4절)

번철에 부친 것으로 소제의 예물을 드리려거든 고운 가루에 누룩을 넣지 말고기름을 섞어 (5절)

조각으로 나누고 그 위에 기름을 부을지니 이는 소제니라 (6절)

네가 솥에 삶은 것으로 소제를 드리려거든 고운 가루와 기름을 섞어 만들지니라 (7절)

너는 이것들로 만든 소제물을 여호와께로 가져다가 제사장에게 줄 것이요 제사장은 그것을 단으로 가져다가 (8절)

그 소제물 중에서 기념할 것을 취하여 단 위에 불사를지니 이는 화제라 여호와께 향기로운 냄새니라 (9절)

소제물의 남은 것은 아론과 그 자손에게 돌릴지니 이는 여호와의 화제 중에 지극히 거룩한 것이니라 (10절)

 

① 소제 중 두번째 형태는 화덕(oven)에 굽는 것으로, 고운 가루에 기름을 섞어 구운 무교병(unleavened cakes)이나 기름을 바른 무교전병(unleavened wafers)을 드리는 것이다.

② 세번째 형태는 번철(griddle 프라이 팬)에 부치는 것으로, ㉠고운 가루에 누룩을 넣지 말고 ㉡기름을 섞어 ㉢(반죽한 후 번철에 부쳐) ㉣조각으로 나누고 그 위에 기름을 붓는다.

③ 네번째 형태는 솥(pan 냄비)에 넣어 만드는 것으로, 고운 가루와 기름을 섞어 만든다. 개역한글의 ‘삶은 것’ 이 정확한 번역은 아니다. 개역 개정은 이 부분을 ‘냄비의 것’ 이라고 번역했는데 역시 매끄러운 번역은 아니다. 어떤 해석은 ‘기름에 튀겼다’ 라고 보기도 하는데(레위기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두란노아카데미,p225) 동의하기 힘든 해석이다. 이렇게 해석하고자 한다. 가루에 기름이 섞인 상태로, 반죽하지 않고, 볶았다고 보고자 한다.

④ 위 ①②③의 소제물을 여호와께로 가져다가 제사장에게 준다. 제사장은 이것들을 단으로 가져다가 기념할 것을 취하여 단 위에 불살라 화제로 드린다. 여호와께 향기로운 냄새(a soothing aroma)가 된다.

⑤ 이상의 소제물 중에서 남은 것은, 첫번째 형태의 소제물에서와 같이, 아론과 그의 아들들에게 돌린다.

 

 

무릇 너희가 여호와께 드리는 소제물에는 모두 누룩을 넣지 말지니 너희가 누룩이나 꿀을 여호와께 화제로 드려 사르지 못할지니라 (11절)

 

① 일반적으로 누룩과 꿀은 곡물의 모양과 맛을 변형시키는 재료들이다. 사람들의 입에는 누룩과 꿀이 반드시 들어가야만 먹기에 좋은 음식이 된다. 역으로 사람에게 좋은 것이 하나님께는 좋지 못한 것이 될 가능성이 아주 높다. 하나님께서는 변질을 싫어하신다. 우리의 믿음과 사랑과 헌신 등이 변질된다면 하나님께서 받으실 수 없게 된다. 그렇기에 하나님께서는 무교절에 사람들의 입에 맞지 않는 무미건조한 빵을 먹으며 하나님의 말씀과 언약을 기억하게 하신다.

② 변질된 것을 싫어하시는 여호와께 드리는 소제물에는 순결함과 순수함이 요구되기에 누룩과 꿀을 넣어 화제로 드려 사르지 못하게 하신다.

 

 

처음 익은 것으로는 그것을 여호와께 드릴지나 향기로운 냄새를 위하여는 단에 올리지 말지며 (12절)

 

① ‘처음 익은 것’은 곡물을 제외한 열매나 과일을 말한다. 이러한 것들을 여호와께 드려야 한다(출23:19).

②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곡물(grain)이 아니어서 소제물에 관한 규정이 적용될 수 없으므로, 향기로운 냄새를 위해서는 단 위에서 화제로 드리지 못한다.

 

 

네 모든 소제물에 소금을 치라 네 하나님의 언약의 소금을 네 소제에 빼지 못할지니 네 모든 예물에 소금을 드릴지니라 (13절)

 

① 드려지는 모든 소제물에 소금을 치라는 말씀은, 하나님 언약의 본질은 소금처럼 결코 변함이 없음을 알게 하시려는데 있다. 결코 변함이 없는 하나님의 언약은 이스라엘 자손의 태도와 상관없이 영원불변하다. 소금은 그 자체로도 변함이 없지만, 소금이 들어간 다른 것들도 변함이 없게 한다. 하나님의 언약이 이 소금과 같은 특징이 있기에, 결코 변함이 없고 그 언약을 붙잡는 한 인간도 변질되지 않을 것이다.

② 소금은 여호와께 드림에 있어서 ‘성결’을 보증한다(출30:35). 이 ‘성결’은 ‘pure, and holy’ 로 순결하게 되어 거룩해짐을 의미한다. 하나님께서 때를 따라 주신 곡식을 ㉠곱게 갈아 ㉡기름을 붓고, 유향을 놓거나/ 굽거나/ 부치거나/ (볶거나) 할 때 ㉢반드시 소금을 더하여 ㉣여호와께 가져와 ㉤화제로 드린다. 소금이 빠지면 소제물로서의 자격이 상실된다.

③ 본 절에서 ‘소금을 치라’ ‘소금을~ 빼지 못할지니’ ‘소금을 드릴지니라’ 라고 ‘소금’이 3번 반복된다. 히브리어는 문법적으로 최상급-원급/비교급/최상급에서의 최상급-을 표현하는 특별한 형태가 없다. 그래서 최상급을 표현하는 방법이 몇가지 있는데, 여기처럼 같은 표현을 3번 반복함으로써 최상급을 표현하기도 한다. 즉 소제물에는 반드시 소금이 들어가야 한다는 의미가 된다.

 

 

너는 첫 이삭의 소제를 여호와께 드리거든 첫 이삭을 볶아 찧은 것으로 너의 소제를 삼되 (14절)

그 위에 기름을 붓고 그 위에 유향을 더할지니 이는 소제니라 (15절)

제사장은 찧은 곡식 얼마와 기름의 얼마와 모든 유향을 기념물로 불사를지니 이는 여호와께 드리는 화제니라 (16절)

 

① 앞의 1~2절에서와 다른 점은 첫 이삭으로 소제를 드린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 첫 이삭을 볶아 찧어야(grits) 한다. 고운 가루로 만들어야 한다는 제한은 없어 보인다.

② 그 위에 기름을 두고(put), 그 위에 유향을 놓는다(lay). 이는 찧은 가루 위에 별도로 기름과 유향을 얹어서 가져 왔다는 뜻이 아닐까 생각된다. 특히 기름의 경우 그래야 16절의 ‘찧은 곡식 얼마-일부-와 기름의 얼마와’ 라는 구절과 해석 상 합치된다.

③ 제사장은 찧은 곡식 일부와 기름의 일부(part of its grits and its oil)와 모든 유향을 기념물로 불살라 여호와께 화제로 드린다.

④ 참고적으로 개역개정은 16절의 번역에 있어 큰 오류가 있다. “제사장은 찧은 곡식과 기름을…” 이라고 한 부분이다. ‘제사장은 찧은 곡식의 일부와 기름의 일부를 모든 유향과 함께…’ 라고 해야 한다.

 

 

 

[문제2-1] 다음 레2장의 소제에 대한 설명과 관련하여 틀린 것을 고르세요.

① 소제는 곡물로 드리는 제사를 지칭한다.

② 첫 이삭을 드리는 방법과 첫 이삭이 아닌 곡물로 드리는 방법엔 차이가 있다.

③ 열매나 과일은 소제물로 쓰이지 못하므로, 여호와께 드릴 필요가 없다.

④ 곡물 가루로만 드린다면 소제물이 되지 못한다.

⑤ 누룩이나 꿀을 소제물과 함께 화제로 드려서는 안된다.

 

 

[문제2-2] 다음 레2장과 관련하여 틀린 것을 고르세요.

① 모든 소제물에 유향이 들어가는 것은 아니다.

② 소금은 소제물에 빠지지 않고 반드시 들어가야 한다.

③ 소금은 하나님의 언약을 상징한다.

④ 모든 소제물을 화제로 드리는 것은 아니다.

⑤ 여호와께 화제로 드려지는 소제의 부분을 기념물이라고 한다.

 

 

[문제2-3] 다음 레2장과 관련하여 틀린 것을 고르세요.

① 고운 가루나 볶아 찧은 가루에 유향을 섞어서(mix) 드린다.

② 드려진 유향은 전부 다 태워져 드려져야 한다.

③ 소제물의 남은 것은 아론과 그의 아들들에게 돌아간다.

④ 아론과 그의 아들들에게 돌아가는 부분은 여호와의 화제 중에 지극히 거룩한 것이다.

⑤ 화덕에 구운 소제물에는 무교병과 무교전병이 있다.

 

 

핵심 한 줄

 

⒜ 소제물의 나머지 부분을 제사장에게 돌리게 하신 하나님의 말씀엔 복과 경계가 함께 들어 있다.

⒝ 하나님의 언약은 소금처럼 변함이 없고, 그 어떤 것도 변질되지 않게 하신다.

⒞ 누룩과 꿀처럼 사람이 좋아하는 것을 하나님께서는 좋아하시지 않으신다.

⒟ 우리 자신이 고운 가루처럼 곱게 갈아지든지, 불에 볶아 찧은 소제물처럼 정화되어 부숴져야 하나님께서 우리를 받으실 만하게 된다.

 

 

암송 구절

1절

2절

3절

11절

13절

 

 

정답

[문제2-1] ③

[문제2-2] ④

[문제2-3] ①

 

 

적용

㈎ 소제물의 규정을 통해 하나님께서 우리를 받으시려면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 살펴보자.

㈏ 누룩과 꿀 vs. 소금을 하나님 언약에 대입해 설명해 보라.

 

 

 

Copyright © 2011 by Paul Han

 

 

blog.daum.net/happybible

'레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위기6장  (0) 2011.07.12
레위기5장  (0) 2011.06.29
레위기4장  (0) 2011.06.15
레위기3장  (0) 2011.05.27
레위기1장  (0) 2011.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