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위기

레위기23장

레위기 23

 

23장을 천천히 읽으세요.

 

요약: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자손들이 성회로 공포하고 모이기를 원하시는 절기에 대해 말씀하신다. 절기는 다름 아닌 여호와께서 특별히 정해 놓으시고 지키길 원하시는 날들이다. 이런 의미에서 절기의 대표는 안식일이다. 통칭 3대 절기로 불리는 무교절, 칠칠절, 수장절은 축제일로서의 의미가 더 강하다. 본 장에서는 유월절과 무교절, 초실절, 칠칠절, 나팔절, 속죄일, 초막절 등 모든 절기에 대한 규례를 말씀하신다.

 

 

여호와의 절기 (2~3)

 

① 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를 위해 지켜야 할 절기들이다. 그들은 이 절기를 성회로 공포해야 한다. 성회(holy convocations/ sacred assemblies)엔 아무 일-노동-도 하지 않는다(12:16 28:18,25,26 ).

② 엿새 동안은 일하고 일곱째 날은 쉴 안식일로, 성회의 날이다. 따라서 이 날에도 역시 아무 일을 하지 말아야 한다. 이는 그들이 거주하는 각처에서 지킬 여호와의 안식일이다. 안식일은 대표적인 절기가 된다. 즉 절기의 대표가 안식일이다. ‘절기‘the feasts of the LORD’(여호와의 축일)(KJV) ‘appointed feasts’(지정된 축일)(NIV) 등으로 번역되는데, 특히 ‘appointed times’(지정된 날/정한 때)(NASB)로 번역한 것도 있다. 물론 절기란 용어엔 축()일이란 의미도 당연히 들어 있다. 하나님께서 정해 놓으신 날은 7일 마다 한 번씩 돌아오는데, 이 날이 축일로 지정된 날(=정한 때), 안식일(주일)로 불리는 절기이다. 4절을 통해서도 ‘그 정한 때’ 가 ‘여호와의 절기들’ 임을 알 수 있다. ※ 매 주일(안식일)을 축제를 벌이는 거룩한 여호와의 절기로 지키라!

 

 

유월절과 무교절 (4~8)

 

① 첫째 달(아빕월) 열 나흗날 저녁은 여호와의 유월절이다(5).

② 같은 달 열 닷샛날은 여호와의 무교절이다. 이레 동안 무교병을 먹어야 한다(6). 그 첫 날에는 성회로 모이고 아무 노동도 하지 말아야 한다(7). 무교절 기간 이레 동안 여호와께 화제를 드리고, 일곱째 날에도 성회로 모이고 아무 노동도 하지 말아야 한다(8). 다만 출12:16에 의하면 각자의 먹을 것만 갖추면 된다.

③ 유월절과 무교절을 동전의 양면과 같다고 출애굽기 12장에서 설명한 바 있는데, 유월이 있던 날 밤에 무교병을 먹으며 급하게 출애굽을 준비했던 데서 연유한다. 또한 유월절과 무교절은 동전의 앞 뒷면과 같이 시간적으로 붙어 있고, 유월절에서 시작하여 무교절로 마무리되기 때문이다.

 

 

첫 이삭 한 단을 바치는 절기=초실절 (9~14)

 

① 새해가 되어 처음 수확한 곡물-일반적으로 보리로 봄-의 첫 열매를 먼저 하나님께 바치는 절기로, 무교절 기간의 첫 안식일이 지난 다음 날에 지켜졌다. ‘초실절이란 말은 나팔절처럼 편의상 붙인 용어로, 무교절, 초막절, 수장절 등과 같이 명확한 용어는 아니다. 34:22에는 “칠칠절 곧 맥추의 초실절을 지키고 세말에는 수장절을 지키라” 고 한글 성경상 번역되어 있는데, 칠칠절과 초실절이 같은 절기는 아니다. 34:22의 ‘초실절’은 단순히 첫 수확물의 의미로 번역해야 하고, 여기서 편의상 붙인 초실절과는 같은 절기가 아니다.

② 이스라엘 자손은 여호와께서 주시는 땅에 들어가서 곡물을 거둘 때에, 곡물의 첫 이삭 한 단을 제사장에게로 가져간다(10).

③ 제사장은 이스라엘 자손을 위하여 그 단을 여호와 앞에 기쁘게 받으심이 되도록 흔들되 안식일 이튿날에 흔든다(11).

④ 그 단을 흔드는 날에 일 년 되고 흠 없는 숫양을 여호와께 번제로 드리고(12), 그 소제로는 기름 섞은 고운 가루 십분의 이(2/10) 에바를 여호와께 드려 화제로 삼아 향기로운 냄새가 되게 하고, 전제로는 포도주 사분의 일(1/4) 힌을 쓴다(13). 2/10 에바는 마른(dry) 것의 부피를 재는 단위로 4.4리터이고, 1/4 힌은 액체(liquid)의 부피를 재는 것으로 1리터이다.

⑤ 하나님께 예물을 가져오는 그 날까지 떡이든지 볶은 곡식이든지 생 이삭이든지 (그 해 처음 수확한 것을) 먹지 말아야 하는데, 이는 그들이 거주하는 각처에서 대대로 지킬 영원한 규례이다(14).

 

 

칠칠절 (15~21)

 

① 수확한 보리의 첫 곡식단을 하나님께 바치는 초실절 이후 50일 째 되는 날에 밀의 첫 수확을 하나님께 드리는 절기로 오순절, 맥추절로도 불렸다.

② 안식일 이튿날 곧 그들이 요제로 (드려질) 곡식단을 가져온 날부터 세어서 일곱 안식일의 수효를 채우고(15), 일곱 안식일 이튿날까지 합하여 오십 일을 계수하여 새 소제를 여호와께 드리되(16), 그들의 처소에서 십분의 이(2/10) 에바로 만든 떡 두 개를 가져다가 흔들지니 이는 고운 가루에 누룩을 넣어서 구운 것으로, 첫 요제로 여호와께 드리는 것이다(17).

③ 그들은 또 이 떡과 함께 일 년 된 흠 없는 어린 양 일곱 마리와 어린 수소 한 마리와 숫양 두 마리를 드리되 이것들을 그 소제와 그 전제제물과 함께 여호와께 드려서 번제로 삼는다. 이는 화제로서 여호와께 향기로운 냄새이다(18).

④ 또한 숫염소 하나로 속죄제를 드리며 일 년 된 어린 숫양 두 마리를 화목제물로 드려야 한다(19).

⑤ 제사장은 그 첫 이삭의 떡과 함께 그 두 마리 어린 양을 여호와 앞에 흔들어서 요제를 삼아야 하고, 이것들은 여호와께 드리는 성물로 제사장에게 돌린다(20).

⑥ 이 날을 그들 중에 성회로 공포하고 어떤 노동도 하지 말아야 하는데, 이는 그들이 그 거주하는 각처에서 대대로 지킬 영원한 규례이다(21).

 

 

곡물이나 과실을 수확할 때의 규례 (22)

 

땅의 곡물을 벨 때에 밭 모퉁이까지 다 베지 말며, 떨어진 것을 줍지 말고 그것을 가난한 자와 거류민을 위하여 남겨둬야 한다. 이 말씀은 하나님께서 꼭 지키길 원하시는 명령이다. “나는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이니라라고 강조하신다(22, 19:9~10).

 

 

나팔절 (23~25)

 

① 이스라엘 자손에게 일곱째 달(티쉬리월)의 첫 날은 쉬는 날이 되는데, ‘나팔을 불어 기념할 날이요 성회가 된다(24). 29:1에 따르면 나팔을 불 날이라고 한다.

② 이 날엔 어떤 노동도 하지 말고 여호와께 화제를 드려야 한다(25). 29:2~6에 드려져야 할 것들이 나열되었다.

 

 

속죄일 (26~32)

 

① 일곱째 달 열흘날은 속죄일이다. 이스라엘 자손은 성회를 열고 스스로 괴롭게 하며 여호와께 화제를 드린다(27).

② 이 날에는 어떤 일도 하지 말 것은 그들을 위하여 하나님 여호와 앞에 속죄할 속죄일이 되기 때문이다(28).

③ 이 날에 스스로 괴롭게 하지 아니하는 자는 그 백성 중에서 끊어질 것이다(29).

④ 이 날에 누구든지 어떤 일이라도 하는 자는 여호와께서 그의 백성 중에서 멸절시키신다(30). 아무 일도 하지 말 것은 그들이 거주하는 각처에서 대대로 지킬 영원한 규례이다(31).

⑤ 이 날은 쉴 안식일로 스스로 괴롭게 하고, 이 달 아흐렛날 저녁부터 이튿날 저녁까지 안식을 지켜야 한다(32). ※ 십 일은, 전 날인 구 일 저녁부터 다음 날 저녁까지 하루 동안이다.

 

 

초막절 (33~36, 39~43)

 

① 일곱째 달 열닷샛 날은 초막절이다. 여호와를 위하여 이레 동안 지킨다(34).

② 첫 날에는 성회로 모이고, 아무 노동도 하지 않는다(35). 이레 동안에 여호와께 화제를 드려야 하고, 여덟째 날에도 성회로 모여서 여호와께 화제를 드린다. 이는 거룩한 대회(assembly)로서 어떤 노동도 하지 말아야 한다(36).

③ 초막절은 토지 소산 거두기를 마치고, 일곱째 달 열닷샛 날부터 이레 동안 여호와의 절기로 지키되, 첫 날에도 안식하고 여덟째 날에도 안식한다(39). 첫 날에는 아름다운 나무실과와 종려나무 가지와 무성한 나무 가지와 시내 버들을 취하여 하나님 여호와 앞에서 이레 동안 즐거워한다(40). 7일 동안 초막에 거하며 즐거워하고, 8일에 성회로 모인다.

④ 이스라엘 자손은 매년 일곱째 달에 이레 동안 여호와께 이 절기를 지켜야 하는데 대대의 영원한 규례이다(41).

⑤ 그들은 이레 동안 초막에 거주하되 이스라엘에서 난 자-본토인-는 다 초막에 거주해야 한다(42). 이는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자손을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시던 때에 초막에 거주하게 하셨음을 대대로 알게 하려 하심이다(43).

 

 

이스라엘의 3대 절기

 

① 유월절(무교절), 칠칠절(오순절/맥추절), 초막절(장막절/수장절)로 축제일로서의 의미가 강한 절기이다.

② 이스라엘은 매년 세 번 여호와께 절기(feast 축제)를 지켜야 한다(23:14~16).

 

 

절기에 드리는 제물 (37~38)

 

① 이스라엘 자손은 여호와의 절기(appointed times of the LORD)를 공포하여 성회를 열고 여호와께 화제를 드리되, 번제와 소제와 희생제물(sacrifices)과 전제(libations)를 각각 그 날에 드린다.

② 이는 여호와의 안식일 외에, 그들의 헌물 외에, 그들의 모든 서원제물과 자원제물 외에 (별도로) 여호와께 드리는 것이다.

 

 

 

[문제23-1] 다음 레23장과 관련하여 틀린 것을 고르세요.

① 절기는 여호와께서 정해 놓으신 때를 말한다.

② 그렇다면 안식일도 절기가 된다.

③ 안식일은 성회의 날이다.

④ 여호와의 절기들은 성회로 공포해야 한다.

⑤ 성회의 날에 아무 일도 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문제23-2] 다음 레23장과 관련하여 틀린 것을 고르세요.

① 유월절과 무교절은 하루 차이로 붙어 있다.

② 유교절과 무교절은 같은 절기로 취급되기도 한다.

③ 무교절의 첫 날과 마지막 날에 여호와께 화제를 드린다.

④ 무교절의 첫 날과 마지막 날은 성회로 모인다.

⑤ 제사장은 무교절이 지난 안식일 다음 날에 첫 이삭을 흔들어 여호와께 드린다.

 

 

[문제23-3] 다음 레23장의 초실절, 칠칠절과 관련하여 틀린 것은?

① 수확한 첫 단을 흔들어 드리는 날에 일 년 되고 흠 없는 숫양을 여호와께 번제로 드린다.

② 초실절과 칠칠절은 같은 절기이다.

③ 오순절에 드리는 소제에는 누룩을 넣고 구워 요제로 드린다.

④ 칠칠절에는 소제, 번제, 속죄제, 화목제를 드린다.

⑤ 첫 이삭의 떡과 화목제물로 일 년 된 어린 숫양 두 마리를 요제로 여호와께 드리고, 제사장에게 돌린다.

 

 

[문제23-4] 다음 레23장과 관련하여 틀린 것을 고르세요.

① 초막절 기간 이레 동안 일체의 노동이 금지된다.

② 속죄일에 스스로 괴롭게 하지 아니하는 자는 그 백성 중에서 끊어질 것이다.

③ 초막절은 토지 소산 거두기를 마치고, 일곱째 달 열닷샛 날부터 이레 동안 여호와의 절기로 지키되, 첫 날에도 안식하고 여덟째 날에도 안식한다.

④ 속죄일에 누구든지 어떤 일이라도 하는 자는 여호와께서 그의 백성 중에서 멸절시키신다.

⑤ 초막절은 칠월 달 15일부터 이레 동안 초막에 거주해야 하고, 8일 째 되는 날에는 성회로 모인다.

 

 

 

핵심 한 줄

 

⒜ 여호와의 절기 중 대표는 안식일이다.

⒝ 여호와께 나아와 섬기는 것이 곧 축제가 된다.

 

 

암송 구절

2

3

5

6

11

15

16

17

24

27

28

34

36

42~43

 

 

정답

[문제23-1]

[문제23-2]

[문제23-3]

[문제23-4]

 

 

적용

㈎ 안식일을 절기라고 한다면 그 의미는 무엇인가?

㈏ 하나님을 섬기며 예배하는 것이 축제가 되려면, 예배 갱신은 어떻게 되어져야 하는지 얘기해 보자.

 

 

 

Copyright © 2012 by Paul Han

 

blog.daum.net/happybible

 

 

'레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위기25장  (0) 2012.06.30
레위기24장  (0) 2012.06.17
레위기22장  (0) 2012.05.18
레위기21장  (0) 2012.05.04
레위기20장  (0) 2012.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