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수기 21장
민21장을 천천히 읽으세요.
요약: 아랏 왕이 이스라엘을 쳐서 몇 명을 사로잡았는데 이로 인해 호르마 사건이 발생했다. 호르 산에서 출발하여 에돔 땅을 우회하려 한 이스라엘이 길로 인해 마음이 조급해졌다. 백성이 하나님과 모세를 원망했고, 그 결과로 여호와께서 보내신 불뱀들로 인해 많은 자가 죽게 되었다. 백성들이 범죄를 고백했고 여호와께서는 놋뱀으로 그들에게 살 길을 주셨다. 드디어 이스라엘은 모압 들판에 도착하여 가나안에 들어갈 전초기지를 마련했다. 요단 동쪽에 있는 아모리 왕 시혼을 쳐서 이기고 아모리 땅을 차지하게 되었다. 연이어 바산 왕 옥도 쳐서 이기고 그의 땅도 점령했다.
호르마 (1~3절)
① 네겝(Negev)-남방(南方), South country-에 거주하는 가나안 사람 곧 아랏(Arad)-‘들나귀’라는 뜻-의 왕이 이스라엘이 아다림(Atharim)-정탐- 길로 온다 함을 듣고 이스라엘을 쳐서 그 중 몇 사람을 사로잡았다(1절).
② 이스라엘이 여호와께 서원했다. “주께서 만일 이 백성을 내 손에 넘기시면 내가 그들의 성읍을 다 멸하리이다”(2절) ※ 외부의 적이 유익할 때가 있는데, 지금이 그렇다. 이스라엘 백성은 따로 국밥이 아니라 ‘내 손에’ ‘내가’ 라고 하며 한 마음 한 뜻이 되어 여호와께 구하고 있다.
③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의 목소리를 들으시고 가나안 사람을 그들의 손에 넘기셔서 그들과 그들의 성읍을 다 멸했으므로 그 곳 이름을 호르마(Hormah)라 하였다(3절). ☞‘호르마’의 의미는 ‘a devoted thing’(바쳐진 물건) 또는 ‘Destruction’(파멸,진멸)인데, ‘헤렘’과 관련이 있는 지명으로 생각된다☜
④ 호르마 사건이 그냥 일어난 일이라고 하기보다는, 장차 있을 ‘진멸’에 대한 사전적(事前的) 성격이 있다(2절).
불뱀과 놋뱀 (4~9절)
① 백성이 호르 산에서 출발하여 홍해 길을 따라 에돔 땅을 우회하려다가 길로 인하여 마음이 상했다(4절). ‘홍해 길을 따라’ 라는 말은 홍해 쪽으로 방향을 돌렸다는 뜻이 아니라, 홍해↔에돔 루트로 들어섰다는 뜻이다. 14:25에도 같은 표현이 나온다. 그들의 진행 방향에서 봐서 오른쪽으로 가면 홍해 방향이고-14:25에 나오는 방향-, 왼쪽으로 가면 에돔을 우회하는 방향이 된다. ‘마음이 상했다’는 것은 ‘become impatient’로 조급해졌다는 뜻이다. 가나안 직행 루트로도, 에돔 땅으로도 가지 못하고 먼 길을 돌아가게 된 백성들의 마음에 인내심이 사라지고 말았다. 40년도 참아야 했는데, 막판의 짧은 시간과 환경을 견디지 못하고 말았다.
② 백성이 하나님과 모세를 향하여 원망했다(5절). ㉠어찌하여 우리를 애굽에서 인도해 내어 이 광야에서 죽게 하는가 ㉡이 곳에는 먹을 것도 없고 물도 없다 ㉢우리 마음이 이 하찮은 음식을 싫어하노라. 하찮은 음식은 만나를 지칭한다. ※ 므리바 물에서 여호와와 다툰 지 얼마 되지 않은 이스라엘 백성은 그 일을 벌써 잊었는지 잊지 않고서도 그랬는지, 길로 인해 또다시 원망이 터져 나왔다. 원망과 불평의 레파토리는 이미 정해져 있었다. ‘ⓐ왜 우리를 애굽에서 이끌어 내어 광야에서 죽이려는가(11:20, 14:2, 20:4~5) ⓑ물이 없어 죽겠다(20:5) ⓒ만나가 지겹다(11:6)’
③ 여호와께서 불뱀들을 백성 중에 보내어 그들을 물게 하셨으므로 이스라엘 백성 중에 죽은 자가 많았다(6절). 불뱀은 ‘venomous snakes’ ‘fiery serpents’ ‘poisonous snakes’ 등으로 번역되는데, 사막에 사는 독사라고 하겠다.
④ 백성이 모세에게 이르러 자신들이 범죄했음을 인정하고 뱀들을 떠나게 해달라고 간구했다. 모세가 백성을 위해 기도했다(7절).
⑤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셨다. “불뱀을 만들어 장대 위에 매달아라 물린 자마다 그것을 보면 살리라”(8절). 모세가 놋뱀을 만들어 장대 위에 다니 뱀에게 물린 자가 놋뱀을 쳐다본즉 모두 살았다(9절). ※ 들림 & 바라봄의 법칙: “모세가 광야에서 뱀을 든 것 같이 인자도 들려야 하리니 이는 그를 믿는 자마다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요3:14~15). 불뱀에 물려 타는듯한 고통으로 죽어가던 사람들이, 장대에 달린 놋뱀을 바라본 자마다 살게 되었듯이, 십자가에 달린 예수님을 바라보는 자 즉 믿는 자마다 영생을 얻게 된다.
⑥ “죄가 더한 곳에 은혜가 더욱 넘쳤나니”(롬5:20) 라는 말씀처럼, 불뱀과 놋뱀 사건을 통해 오히려 구원이 반드시 필요함을 알려 주셨다. 이 사건을 경계로 광야 생활이 끝나가고 있음을 알게 된다. 이는 이스라엘에게 구원의 소식이었다.
이스라엘 자손이 모압 들에 이르다 (10~20절)
① 광야 생활(여정)의 대미를 원망으로 장식한 이스라엘은, 불뱀으로 많이 죽었지만 놋뱀으로 인해 살게 되었다. 이제 그들은 가나안 입성의 전초기지인 모압 들(평지)로 출발하게 되었다.
② 원망하다 불뱀에 물린 곳을 출발 à ‘오봇’에 진을 침 à 모압 앞쪽 해 돋는쪽 광야 ‘이예아바림’에 진 침 à ‘세렛’ 골짜기에 진 침 à ‘아모리’인(人)의 영토에서 흘러 나와서 광야에 이른 ‘아르논’ 강 건너편에 진을 침. 아르논은 모압과 아모리 사이에서 모압의 경계가 된 곳이다. 그러므로 여호와의 전쟁기에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수바’-폭풍우라는 뜻-의 ‘와헙’과 ‘아르논’ 골짜기와 모든 골짜기의 비탈은 ‘아르’ 고을을 향하여 기울어지고 모압의 경계에 닿았도다”. 여호와의 전쟁기에 나오는 중요 지명이 ㉠‘아르’ 고을과 ㉡모압의 경계이다. à 아르논 강 건너편을 떠나 ‘브엘’(우물이라는 뜻)에 이르렀다. ‘브엘’은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시기를, 백성을 모으라 내가 그들에게 물을 주리라 하시던 우물이다. 백성들이 모여 여호와께서 주시는 물을 얻게 되었을 때 이렇게 노래했다. “우물물아 솟아나라 너희는 그것을 노래하라 이 우물은 지휘관들이 팠고 백성의 귀인들이 규(scepter)와 지팡이로 판 것이로다” ※ ‘브엘’의 교훈: ⓐ물은 여호와께서 주시는 것이다. ⓑ이전처럼 모세를 통해 반석에서 기적적으로 물을 얻지 못한다. 광야에서는 만나를 주셨지만, 가나안에 들어가면 농사를 지어야 하는 것과 같다. 이제 이스라엘의 가나안 입성이 임박했음을 알게 하셨다. ⓒ지휘관과 귀인들이 지도권을 사용해서 우물을 파라. ⓓ백성들은 물을 주신 여호와께 찬송하라. à 광야(desert) 즉 ‘브엘’을 떠나 ‘맛다나’ à ‘나할리엘’ à ‘바못’ à ‘모압’ 들(land)에 있는 골짜기에 이르러 ‘여시몬’=광야(wasteland 황무지)가 내려다보이는 ‘비스가’ 산 꼭대기에 이르렀다. 이스라엘이 산 꼭대기에 도착했다? 이해하기 쉽게 번역해 보자. ☞여시몬이 내려다보이는 비스가 산 정상 고원지대인, 모압 들판(land)에 있는 골짜기에 이르렀다.
이스라엘이 아모리 사람의 땅을 차지하다 (21~32절)
① 이스라엘이 아모리 왕 시혼에게 사신을 보내어 그의 땅으로 지나가게 해달라고 말했다(21~22절). ※ 이는 전쟁 전의 화평 선언(신20:10~14)으로 볼 수 있는데, 아모리 왕 시혼이 화평을 거부하며 먼저 전쟁을 일으켰다.
② 시혼이 자기 영토로 지나감을 용납하지 않고, 그의 백성을 다 모아 이스라엘을 치러 광야로 나와 ‘야하스’에 이르러 이스라엘을 쳤다(23절).
③ 이스라엘이 칼날로 그들을 쳐서 무찌르고 그 땅을 ‘아르논’에서부터 ‘얍복’까지 점령하여 암몬 자손에게까지 미쳤다(24절).
④ 이스라엘이 이같이 그 모든 성읍을 빼앗고 그 아모리인의 모든 성읍 ‘헤스본’과 그 모든 촌락에 거주했다(25절). 헤스본은 아모리인의 왕 시혼의 도성으로, 시혼이 그 전 모압 왕을 치고 그의 모든 땅을 아르논까지 빼앗았다(26절). 그러므로 시인이 이렇게 읊었다. “너희는 헤스본으로 올지어다 시혼의 성을 세워 견고히 할지어다 헤스본에서 불이 나오며 시혼의 성에서 화염이 나와서 모압의 아르를 삼키며 아르논 높은 곳의 주인을 멸하였도다 모압아 네가 화를 당하였도다 그모스의 백성아 네가 멸망하였도다 그가 그의 아들들을 도망하게 하였고 그의 딸들을 아모리인의 왕 시혼의 포로가 되게 하였도다 우리-이스라엘-가 그들을 쏘아서-overthrow 굴복시키다, cast down 내던지다- 헤스본을 디본까지 멸하였고 메드바에 가까운 노바까지 황폐하게 하였도다”(27~30절). (그래서) 이스라엘이 아모리인의 땅에 거주하였다(31절). 모세가 또 사람을 보내어 ‘야셀’을 정탐하게 하고 그 촌락들을 빼앗고 그 곳에 있던 아모리인을 몰아냈다(32절).
⑤ 왜 이스라엘이 출애굽 한 후 처음으로 정복한 민족이 아모리인(Amorites)인가? 여호와께서 아브라함과 맺은 언약의 핵심은, 그의 후손이 애굽에 들어간 지 4대 만에 가나안으로 돌아오는 것이다. 그 돌아오는 때는 아모리 족속의 죄악이 가득 차서 여호와께서 벌하시는 때이고 지금이 바로 그 때이다. 바야흐로 아브라함과의 약속이 성취되었다! “네 자손은 사대 만에 이 땅으로 돌아오리니 이는 아모리 족속의 죄악이 아직 가득 차지 아니함이니라 하시더니”(창15:16). ※ 가나안에 광범위하고도 심하게 퍼져 있는 죄악을 없애시려는 것이 하나님의 계획이다. 다 놔두고 이스라엘이 그들 중에 거하면 바로 가나안 거민들에게 동화되어 하나님을 버리게 된다. 그렇게 된다면 가나안을 주시는 의미가 없어진다. 그러므로 가나안 땅을 주시겠다는 하나님 언약이 이루어지는 전제가 그 땅을 벌하고 죄악을 없이하는 것이다.
바산 왕 옥의 땅을 점령하다 (33~35절)
① 이스라엘이 돌이켜 바산(Bashan) 길로 올라가니 바산 왕 옥(Og)이 그의 백성을 다 거느리고 나와서 이스라엘을 맞아 에드레이(Edrei)에서 싸우려 했다(33절). 바산은 요단강 동편 아모리인의 땅 북쪽에 위치했다. 바산 왕 옥은 ‘르바임’ 족속이었는데, 이 르바임 족속은 보통 아낙 자손의 일부로 간주되었는데, 이를 여호와께서 “그를 두려워하지 말라”고 하신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②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셨다. “그를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그와 그의 백성과 그의 땅을 네 손에 넘겼나니 너는 헤스본에 거주하던 아모리인의 왕 시혼에게 행한 것 같이 그에게도 행할지니라”(34절).
③ 이스라엘이 옥과 그의 아들들과 그의 백성을 다 쳐서 한 사람도 남기지 아니하고 그의 땅을 점령했다(35절).
[문제21-1] 다음 민21장의 호르마와 관련하여 틀린 것을 고르세요.
① 호르마의 뜻은 바쳐진 물건, 진멸이다.
② 네겝에 거주하는 가나안 사람인 ‘아랏’의 왕이 이스라엘을 쳤다.
③ 이스라엘 중 몇 명이 죽었는데, 이스라엘이 한 목소리로 여호와께 서원하여 기도했다.
④ 호르마에서 이스라엘은 ‘진멸’이 어떠한 것인지를 알게 되었다.
⑤ 여호와께서 가나안 사람을 이스라엘의 손에 넘기셨다.
[문제21-2] 다음 민21장의 불뱀 사건과 관련하여 틀린 것을 고르세요.
① 백성이 에돔 땅을 우회하여 가면서 길로 인해 마음이 상했다.
② 백성이 하나님과 모세를 향하여 원망했다.
③ 여호와께서 불뱀들을 백성 중에 보내어 물게 하셨다.
④ 백성은 자신들을 고쳐주시도록 여호와께 기도해 달라고 모세에게 구했다.
⑤ 장대에 달린 놋뱀을 바라본 자마다 모두 살게 되었다.
[문제21-3] 다음 민21장과 관련하여 틀린 것을 고르세요.
① 길로 인해 불평하다가 불뱀에 물린 곳을 떠나 모압 땅으로 떠났다.
② 이스라엘이 도착한 ‘브엘’은 여호와께서 물을 주신 우물이다.
③ 오봇 à 이예아바림 à 세렛 골짜기 à 아르논 강 건너편 à 브엘 à 맛다나 à 나할리엘 à 바못을 거쳐 모압 들에 있는 골짜기 à 비스가 산 꼭대기에 도착했다.
④ ‘아르논’은 모압과 아모리 사이에서 모압의 경계가 된 곳이다.
⑤ 여호와의 전쟁기에 나오는 중요 지명이 ‘아르’ 고을, 모압의 경계이다.
[문제21-4] 다음 민21장과 관련하여 틀린 것을 고르세요.
① 아모리 왕 시혼은 자신의 땅으로 지나가게 해달라는 이스라엘의 요구를 거절했을 뿐 아니라 먼저 공격했다.
② 이스라엘이 칼로 그들을 쳐서 이기고 아모리인의 모든 성읍인 헤스본과 모든 촌락에 거주하게 되었다.
③ 이스라엘이 아모리 족속을 정복하게 된 것은 일찍이 여호와께서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신 것의 성취이다.
④ 여호와께서는 모세에게 바산 왕 옥을 두려워 말고 아모리 왕 시혼에게 행한 것처럼 행하라고 하셨다.
⑤ 바산 왕 옥도 이스라엘이 자신의 영토로 통과하는 것을 불허했다.
핵심 한 줄
⒜ 불뱀 사건은 이스라엘에게 비극이었지만, 역설적으로 구원이 반드시 필요함을 알려주신 사건이었다.
⒝ 물을 주시는 분은 여호와시지만, 상황과 장소와 때에 따라 주시는 방법을 다르게 하신다.
⒞ 여호와의 언약은 반드시 성취된다. 출애굽이 그렇고, 아모리 족속 정벌이 그렇다.
⒟ 바산 왕 옥과 같은 존재를 만나게 될 때 여호와께서 주시는 말씀은 “두려워하지 말라” 이다.
암송 구절
2절
3절
4절
5절
6절
9절
16절
20절
24절
25절
26절
33절
34절
35절
정답
[문제21-1] ③
[문제21-2] ④
[문제21-3] ③
[문제21-3] ⑤
적용
㈎ 범죄한 인간에게 임하는 하나님의 징계가 궁극적으로는 인간을 향한 축복의 싸인(sign)이 된다. 불뱀 사건이 여기에 해당되는가?
㈏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하신 약속 두 가지가 이제 성취되었다. 무엇과 무엇인지 말해보고, 메시아 언약과의 연관성을 가지고 설명해 보자.
Copyright © 2013 by Paul Han
blog.daum.net/happyb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