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수기 34장
민34장을 천천히 읽으세요.
요약: 이번 장에서는 여호와께서 가나안 땅의 경계가 어떻게 되는지 알려주시고, 그 땅을 나눌 책임자를 지파 별로 지명하여 주셨다. 출애굽 1세대 중 가나안에 들어가게 된 여호수아와 갈렙이 기업을 나누는 일에 참여하게 되었다.
가나안 땅의 경계 (1~15절)
① 여호와께서 모세를 통하여 이스라엘 자손에게 명령하셨다. “너희가 가나안 땅에 들어가는 때에 그 땅은 너희의 기업이 되리니 곧 가나안 사방 지경이라”(1~2절).
② 남쪽은 에돔 곁에 접근한 ‘신(Zin)’ 광야다. 남쪽 경계는 동쪽으로 ‘염해-사해-’ 끝에서 시작하여(3절), 돌아서 ‘아그랍빔’-Scorpion Pass(전갈 언덕길)의 뜻으로 보아 전갈이 많은 지역이었으리라 생각된다- 언덕 남쪽에 이르고 ‘신(Zin)’을 지나 ‘가데스바네아’ 남쪽에 이르고 ‘하살아달’을 지나 ‘아스몬’에 이르고(4절), 아스몬에서 돌아서 ‘애굽’ 시내를 지나 바다까지 이른다(5절). ※ 염해는 ‘아라바 바다’(신3:17, 수3:16) ‘동해’(겔47:18, 욜2:20, 슥14:8)라고도 불린다. ※※ ‘애굽 시내’는 여호와께서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신 땅의 경계인 ‘애굽 강’(창15:18)과 같은 것이다. 이는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실 때엔 강이었는데, 약 7백 년이 지난 뒤에는 자연환경의 변화로 인해 시내가 되었으리라 추정할 수 있다. “히브리어에는 ‘강’이라고 번역되는 단어가 두 개 있는데, 하나는 창15:18처럼 실제로 강을 의미하는 단어로 쓰이고, 또 하나는 민34:5처럼 평소에는 말라있는 와디 또는 시내를 의미하는 단어로 쓰인다. 민34:5에서 언급된 애굽 시내는 와디 엘 아리쉬라고 여겨진다.”(이스라엘의 본질, p58, 랜스 램버트 저) ※※※ 남쪽 경계는 인간이 거주할 수 있는 한계로서의 의미가 있다고 여겨진다. 남쪽 경계 밖은 광야이기 때문이다.
③ 서쪽 경계는 ‘대해(the Great Sea)’-지중해-가 된다(6절).
④ 북쪽 경계는 이렇다. 대해에서부터 ‘호르’ 산까지 (선을) 그어라(7절). 호르 산에서 그어 ‘하맛’ 어귀에 이르러 ‘스닷’에 이르고(8절), ‘시브론’을 지나 ‘하살에난’에 이른다(9절). ※ 아론이 죽은 ‘호르’ 산(33:38)은 에돔 땅 변경에 있으므로(33:37) 북쪽 경계인 호르 산과는 다른 산이다. 이 호르 산을 헤르몬 산이나 레바논 산맥의 지맥에 있는 어떤 산으로 보기도 한다.
⑤ 동쪽 경계는 ‘하살에난’에서 그어 ‘스밤’에 이르고(10절), 스밤에서 ‘리블라’로 내려가서 ‘아인’ 동쪽에 이르고, 또 내려가서 ‘긴네렛’ 동쪽 해변에 이르고(11절), 또 ‘요단’으로 내려가서 ‘염해’에 이른다(12절). ※ ‘긴네렛’은 ‘긴네롯 바다’(수12:3), ‘디베랴/갈릴리 바다’(요6:1)로 부르며, 갈릴리 호수, 게네사렛 호수(눅5:1)라고도 한다.
⑥ 모세가 이스라엘 자손에게 명령했다. ㉠이는 너희가 제비 뽑아 받을 땅이다. ㉡여호와께서 이것을 아홉 지파 반 쪽에게 주라고 명령하셨다. ㉢르우벤 자손의 지파와 갓 자손의 지파와 므낫세의 반쪽은 그들 조상의 가문에 따라 기업을 받았다. ㉣이 두 지파와 그 반 지파는 여리고 맞은편 요단 건너편 곧 해 돋는 쪽에서 그들의 기업을 받았다(15절). ※ 14절의 ‘받을 것이며’ 15절의 ‘받으리라’는 ‘받았으며’ ‘받았다’ 라고 해야 한다.
⑦ 가나안의 범위는 요단강 서편만을 말하는가? 그렇다고 해야 한다. 여호와께서 주시기로 한 땅에 요단 동편은 포함되지 않았지만, 르우벤과 갓지파의 요청에 따라 두 지파 반이 요단 동쪽에 거주하게 되었다. 참고로 오늘날 이스라엘 국경은 요단 동편도 일부분 영토로 되어 있고, 대부분은 요단강을 경계로 요르단(국가명)과 마주하고 있다(아래 지도 참조).
⑧ 이 가나안 땅의 크기는 대략 얼마나 될까? “이스라엘의 역사에서 ‘단에서 브엘세바까지’ 라는 말은 이스라엘 땅 전체를 의미하는 전형적인 표현이다. 북쪽 헤르몬 산의 아래 위치한 ‘단’에서 요단 강 발원지를 지나 남쪽의 초원과 사막의 경계선에 위치한 ‘브엘세바’까지는 약 225킬로미터밖에 되지 않는다.”(이스라엘의 본질, p24, 랜스 램버트 저)
⑨ 그렇다면 일찍이 여호와께서 아브라함에게 하신 약속은 무엇인가? “그 날에 여호와께서 아브람과 더불어 언약을 세워 이르시되 내가 이 땅을 애굽 강에서부터 그 큰 강 유브라데까지 네 자손에게 주노니”(창15:18). 여호와께서는 일찍이 야곱을 통해 이 약속을 일부분 성취시켜 주셨다.야곱이 에서를 피해 외갓집으로 도망갔는데, 그곳이 ‘밧단아람’이라고 하는 ‘하란’이다. 야곱의 할아버지인 아브라함의 고향인 하란이 바로 유브라데 상류에 있었다. 야곱이 거기 머물렀고, 아들들이 거기서 태어났으며 후일 그 아들들이 이스라엘을 이루게 되었다. 여호와께서는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시내산을 떠라라고 하시며 레바논과 큰 강 유브라데까지 가라고 하셨다(신1:7). 여호와께서 아브라함에게 주시겠다고 하신 약속을 지키셨다. 그러나 이스라엘의 불순종으로 인해 광야에서 제동이 걸리고 말았다. 후일 솔로몬 때에 이르러 이 언약은 성취되었다. “유다와 이스라엘의 인구가 바닷가의 모래 같이 많게 되매 먹고 마시며 즐거워하였으며 솔로몬이 그 강-유브라데 강-에서부터 블레셋 사람의 땅에 이르기까지와 애굽 지경에 미치기까지의 모든 나라를 다스리므로 솔로몬이 사는 동안에 그 나라들이 조공을 바쳐 섬겼더라”(왕상4:20~21). “솔로몬이 유브라데 강에서부터 블레셋 땅과 애굽 지경까지의 모든 왕을 다스렸으며”(대하9:26).
왜 가나안 땅이 중요한가? (이스라엘의 본질, p36~42, 랜스 램버트 저)
① 여호와께서 ‘나의 땅’이라고 하셨기 때문이다(렘2:7, 14:25, 겔38:16, 욜3:2).
② 하나님께서 자신을 나타내 계시하시려고 정하신 땅이다(행7:2~3).
③ 족장 아브라함 이삭 야곱과 그의 아들들에게 주신 땅이다.
④ 모세와 여호수아가 정복한 땅이다.
⑤ 사사들이 다스린 땅이다.
⑥ 왕들이 다스린 땅이다. 다윗 솔로몬 여호사밧 히스기야 vs. 아합 아하스 므낫세
⑦ 다윗과 아삽, 고라 자손 같은 노래하는 이들의 땅이며, 엘리야 이사야 호세아 같은 선지자들의 땅이다(시137:1~4).
⑧ 신약의 출발이 된 땅이다.
⑨ 예수님의 땅이다. 하나님의 메시아 언약이 성취된 땅이다. 베들레헴 나사렛 가버나움
기업을 나눌 책임자 (16~29절)
① 여호와께서 또 모세에게 말씀하셔서, 땅을 기업으로 나눌 자는 제사장 엘르아살과 눈의 아들 여호수아라고 하셨다(16~17절).
② 또한 기업의 땅을 나누기 위하여 각 지파에 한 지휘관씩 택하라고 하셨다(18절). 그들의 이름은 이러하다. 유다 지파에서는 ‘여분네’의 아들 ‘갈렙’, 시므온 지파에서는 ‘암미훗’의 아들 ‘스므엘’, 베냐민 지파에서는 ‘기슬론’의 아들 ‘엘리닷’, 단 지파에서는 ‘요글리’의 아들 ‘북기’, 므낫세 지파에서는 ‘에봇’의 아들 ‘한니엘’, 에브라임 지파에서는 ‘십단’의 아들 ‘그므엘’, 스불론 지파에서는 ‘바르낙’의 아들 ‘엘리사반’, 잇사갈 지파에서는 ‘앗산’의 아들 ‘발디엘’, 아셀 지파에서는 ‘슬로미’의 아들 ‘아히훗’, 납달리 지파에서는 ‘암미훗’의 아들 ‘브다헬’이라고 하셨다(19~29절).
③ 땅을 나눌 책임자-나눌 자(17절)-는 엘르아살과 여호수아-여호수아는 차기 지도자이기도 하지만, 에브라임 지파의 지휘관이 별도로 있기 때문이다-이고, 실무자들-나누기 위하여(18절)-은 각 지파의 지휘관들이 될 것이다.
④ 갈렙이 유다 지파의 대표가 된 까닭과 의미: ㉠여호와께서 “내 종”(14:24)이라 부르심. ㉡여호와를 온전히 따랐음(32:12). ㉢가나안 땅에 들어가리라 약속을 받음(14:30). ㉣하나님의 약속을 확실히 믿었음(14:7~8). ㉤하나님 여호와께 충성했음(수14:8). ㉥하나님께서 쓰시는 데는 나이가 상관 없음(수14:10~11).
[문제34-1] 다음 민34장과 관련하여 틀린 것을 고르세요.
① 가나안의 동서남북 경계는 여호와께서 친히 정해주셨다.
② 기업을 나눌 책임자는 제사장 엘르아살과 눈의 아들 여호수아 두 사람이다.
③ 남쪽 경계는 염해 끝에서 바다 즉 대해까지다.
④ 서쪽 경계는 대해, 동쪽 경계는 므낫세 반 지파와 갓과 르우벤 지파가 차지한 땅의 끝이 된다.
⑤ 유다 지파에서는 여분네의 아들 갈렙이 땅을 나누는 자로 참여했다.
핵심 한 줄
⒜ 가나안 땅의 범위를 여호와께서 직접 지정하여 주셨는데, 언약 성취의 관점에서 그 의미가 매우 크다.
⒝ 출애굽 1세대인 갈렙이 기업 분할에 참여하게 된 것은, 여호와를 온전히 따라서, “내 종”이라 불린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 큰 강 유브라데를 주시마 한 약속은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에게 이루어졌다.
암송 구절
2절
13절
17절
18절
정답
[문제34-1] ④
적용
㈎ 가나안 땅이 하나님 언약의 관점에서 왜 중요한지 설명해 보자.
㈏ 나이 많은 갈렙이 유다 지파의 대표로 기업 분할의 실무를 맡게 된 까닭과 의미를 얘기해 보자.
㈐ 아브라함에게 큰 강 유브라데를 주시겠다고 하신 여호와의 약속이 출애굽한 이스라엘 자손에게 이루어졌는가?
Copyright © 2014 by Paul Han
blog.daum.net/happyb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