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수기

민수기35장

 

민수기 35

 

35장을 천천히 읽으세요.

 

 

요약: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자손들이 받은 기업 중에서 비례하여 레위인에게 성읍과 초장을 주라 명하셨다. 레위인에게 줄 성읍은 도피성 6곳 외에 42곳의 성읍으로 모두 48개의 성읍이다. 도피성은 부지중에 살인한 자가 피하는 장소다. 고의로 살인한 경우와 고의성이 없이 우연히 사람을 죽인 경우에 대해 말씀하신다. 이스라엘 중에 대대로 거주하는 곳에서의 판결 규례를 주셔서 시행하게 하셨다.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중에 거하시므로 그 땅을 피로 더럽혀서는 안 된다고 하신다.

 

 

 

레위인에게 줄 성읍 (1~8)

 

① 여호와께서 여리고 맞은편 요단 강 가 모압 평지에서 모세에게 말씀하셨다. 이스라엘 자손에게 명령하여 그들이 받은 기업에서 레위인에게 거주할 성읍들(cities)과 그 성읍들을 두르고 있는 초장(pasturelands 목초지)을 주게 하라(2). 성읍은 그들의 거처가 되게 하고, 초장은 그들의 재산인 가축과 짐승들을 둘 곳이 되게 하라(3). ※ 레위 자손들에게 땅은 기업으로 주어지지 않았지만, 거처()와 재산(가축)은 소유하게 하신 것이 여호와의 뜻이다.

② 이스라엘 자손이 레위인에게 줄 성읍들의 들(pasturelands 목초지)은 성벽에서부터 밖으로 사방 천 규빗-약 오백 미터-이다(4). 성을 중앙에 두고 성 밖 동, , , 북쪽으로 각각 이천 규빗-약 천 미터-을 측량하는데, 이것이 레위인 성읍의 들(pasturelands)이다(5). ※ 대부분 4절과 5절이 상충하는 것으로 보고-예를 들어 현대어성경(성서교재간행사)-, 동에서 서, 남에서 북까지의 전체길이를 이천 규빗으로 해석하고 있는데 이는 옳지 않다. “성을 중앙에 두고의 의미를 성읍의 중심에서라고 해석한다면, 성읍의 중심에서 동쪽 서쪽 남쪽 북쪽으로 이천 규빗을 측량해야 하므로 동에서 서, 남에서 북의 길이는 각각 사천 규빗이 된다. 이를 통해 성읍-도시-의 면적과 목초지의 면적을 추정할 수 있다. 레위인에게 주어지는 도시와 초지의 전체 크기는 4,000규빗(2,000미터=2km) X 4,000규빗(2,000미터=2km) = 4평방km 가 된다. 여기서 성읍의 크기를 구해야 하는데, 이천 규빗에서(5) 성벽에서부터의 길이 천 규빗을 각각 빼면(4), 2,000규빗(1,000미터=1km) X 2,000규빗(1,000미터=1km) = 1평방km 가 되고, 목초지의 크기는 4-1= 3평방km 가 됨을 알 수 있다. 현대의 기준으로 본다면 도시의 크기 1평방km 는 아주 작다고 하겠지만, 당시의 일반적인 도시 크기가 이 정도가 아니었을까 추측할 수 있다. 여리고 성 터의 발굴로 드러난 크기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③ 레위인에게 줄 성읍은 살인자들이 피하게 할 도피성으로 여섯 성읍이고, 그 외에 사십이 성읍이다(6). 레위인에게 모두 사십팔 성읍을 주고, 그 초장도 함께 주어라(7). 그 방법은 ㉠이스라엘 자손의 소유에서 떼어 주되 ㉡각기 받은 기업에 비례하여 준다(8).

 

 

도피성 (9~34)

 

①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자손이 가나안 땅에 들어가거든 도피성을 정하라고 하셨다. 이 도피성은 부지중에 살인한 자가 피하는 장소다(9~11).

② 이 도피성은 복수할 자에게서 도피하는 성()으로, 살인자가 회중 앞에 서서 판결을 받기까지 죽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12).

③ 이스라엘 자손이 레위인에게 줄 성읍 중에 여섯을 도피성이 되게 하라(13). 세 성읍은 요단 이쪽-동쪽-에 두고, 세 성읍은 가나안 땅에 두라(14). 도피성으로 지정된 여섯 성읍은 납달리 산지 ‘갈릴리 게데스’, 에브라임 산지 ‘세겜’, 유다 산지 ‘기럇 아르바’ 곧 ‘헤브론’-이상 가나안 땅-, 르우벤 지파 평지 광야의 ‘베셀’, 갓 지파의 ‘길르앗 라못’, 므낫세 지파의 ‘바산 골란’-이상 요단 동편-이다(20:7~8).

④ 이 여섯 성읍은 이스라엘 자손과 타국인과 이스라엘 중에 거류하는 자의 도피성이 되어 부지중에 살인한 모든 자가 그리로 도피할 수 있다(15). ※ 도피성은 부지중살인한 자를 위한 피난처이다. 그렇다면 고의로살인한 자가 도피성으로 피했다면 어떻게 될까? 일단은 피의 보복자가 살인자를 끌어낼 수는 없다고 하겠다. 왜냐하면 도피성을 두게 하신 이유가 ㉠보복하는 자에게서 도피성으로 피한 살인자를 보호하는 것이 일차적인 목적이고 ㉡그 살인자가 부지중에 사람을 죽였다고 주장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결국 그 고의 살인자는 회중 앞에서 재판을 받게 될 것이고, 부지중 살인이 아닌 것으로 판명 날 경우 도피성으로 되돌려 보내지지 않고 죽임을 당하게 될 것이다.

⑤ 고의로 살인한 경우: 철 연장으로 사람을 쳐죽이면 살인자니 그를 반드시 죽인다(16). 사람을 죽일 만한 돌을 손에 들고 사람을 쳐죽이면 살인자니 그를 반드시 죽인다(17). 사람을 죽일 만한 나무 연장을 손에 들고 사람을 쳐죽이면 그는 살인자니 그를 반드시 죽인다(18). 피를 보복하는 자-살해당한 자의 가장 가까운 친족 등-는 그 살인한 자를 만나면 자신이 죽인다(19). 미워하는 까닭에 밀쳐 죽이거나 기회를 엿보아 무엇을 던져 죽이거나(20), 악의-사람을 죽이겠다는 고의-를 가지고 손으로 쳐죽이면 그 친 자를 반드시 죽일 것이니, 피를 보복하는 자는 살인자를 만나면 죽일 것이다(21).

⑥ 고의성 없이 우연히 사람을 죽인 경우: 악의가 없이 우연히 사람을 밀치거나 기회를 엿봄이 없이 무엇을 던지거나(22), 보지 못하고 사람을 죽일 만한 돌을 던져서 죽였을 때에 이는 악의도 없고 해하려 한 것도 아닌즉(23), 회중이 친 자와 피를 보복하는 자 간에 이 규례대로 판결하여(24), 피를 보복하는 자의 손에서 살인자를 건져내어 그가 피하였던 도피성으로 돌려보내고, 거룩한 기름 부음을 받은 대제사장이 죽기까지 거기 거주해야 한다(25). 그러나 살인자가 어느 때든지 그 피하였던 도피성 지경 밖에 나가면(26), 피를 보복하는 자가 도피성 지경 밖에서 그 살인자를 만나 죽일지라도 피 흘린 죄가 없다(27). 이는 살인자가 대제사장이 죽기까지 그 도피성에 머물지 않았기 때문이다. 대제사장이 죽은 후에는 그 살인자가 자기 소유의 땅으로 돌아갈 수 있다(28). ※ 부지중에 살인을 하게 된 자는 도피성에 피함으로 먼저 생명을 보존하고, 대제사장이 죽음으로 완전히 속량을 받는다. 영원한 대제사장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으로 인해 우리도 속량을 받게 되었다!

⑦ 대대로 거주하는 곳에서의 판결 규례(29): ⓐ사람을 죽인 모든 자 곧 살인한 자는 증인들의 말을 따라서 죽일 것이나, 한 증인의 증거만 따라서 죽이지 말아야 한다(30). ※ 고의로 살인한 자는 피를 보복하는 자에 의해 현장에서 바로 죽임을 당할 수 있으므로, 30절은 도피성에 피한 부지중의 살인자를 재판할 때의 규정이 된다. ⓑ고의로 살인죄를 범한 살인자는 생명의 속전을 받지 말고 반드시 죽여야 한다(31). ⓒ도피성에 피한 자는 대제사장이 죽기 전에는 속전을 받고 그의 땅으로 돌아가 거주하게 하지 말아야 한다(32). 이스라엘 자손이 거주하는 땅을 더럽히지 말 것은, 피는 땅을 더럽히므로 피 흘림을 받은 땅은 그 피를 흘리게 한 자의 피가 아니면 속함을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33). ※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된 사람의 피를 흘리게 한 자는 자신의 피도 흘려야 한다는 것이 하나님의 확고한 뜻이다(9:6). ※※ ⓑ와 ⓒ에 따라 돈으로는 일체 살인에 대한 속량이 불가능함을 알 수 있다. 생명을 돈으로 바꿀 수 없기 때문이다. ⓓ이스라엘 자손이 거주하는 땅 곧 여호와께서 거주하는 땅을 더럽히지 말아야 할 것은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자손 중에 계시기 때문이다(34). ※ 살인으로 인해 땅은 더럽혀진다. 이 살인은 물리적으로 사람을 살해하는데 한정되지 않는다. 마음으로도 사람을 죽이는 것이 가능하다는 게 성경의 교훈이다. 요일3:15에는 형제를 미워하는 자마다 살인하는 자라고 말씀하고 있다. 따라서 미움으로 가득한 땅은, 피살자의 피로 땅이 더럽혀지는 것처럼 더럽혀진 땅이 되고 만다. 주님께서도 살인자가 심판을 받듯이, 형제에게 노하는 자도 심판을 받게 되리라 말씀하셨고 여기서 한 발짝 더 나가면 지옥 불에 들어가리라 말씀하셨다. “옛 사람에게 말한 바 살인하지 말라 누구든지 살인하면 심판을 받게 되리라 하였다는 것을 너희가 들었으나 나는 너희에게 이르노니 형제에게 노하는 자마다 심판을 받게 되고 형제를 대하여 라가라 하는 자는 공회에 잡혀가게 되고 미련한 놈이라 하는 자는 지옥 불에 들어가게 되리라”(5:21~22). 오늘날 개인과 개인, 가정 내에서, 국가와 사회 안에 미움과 다툼으로 인해 우리가 밟고 있는 땅이 거룩하신 하나님께서 거하시기 힘든 땅이 되고 있지는 않는가 돌아봐야 할 것이다.

 

 

 

[문제35-1] 다음 민35장과 관련하여 틀린 것을 고르세요.

① 이스라엘 자손이 받은 기업에서 레위인이 거주할 성읍을 줘야 한다.

② 레위인에게 초장도 줘야 하는데, 초장은 그들의 재산인 가축을 두는 곳이 된다.

③ 많이 받은 지파는 많이, 적게 받은 지파는 적게 떼어 준다.

④ 성읍과 초장의 크기는 같지 않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⑤ 도피성 6성읍을 포함하여 모두 42성읍을 레위인에게 준다.

 

 

[문제35-2] 다음 민35장의 도피성과 관련하여 틀린 것을 고르세요.

① 도피성은 가나안에 세 성읍, 요단 동편에 세 성읍을 둔다.

② 도피성은 부지중에 살인한 자가 피하는 장소다.

③ 도피성에 타국인이나 거류자는 들어갈 수 없다.

④ 도피성으로 피한 살인자는 회중 앞에서 판결을 받기까지 보호받는다.

⑤ 도피성으로 되돌려 보내진 살인자는 대제사장이 죽기까지 거기 거주해야 한다.

 

 

[문제35-3] 다음 민35장과 관련하여 틀린 것을 고르세요.

① 고의로 사람을 죽였건 부지중에 죽였건 간에 속전을 받고 살인자를 속량할 수 없다.

② 철이나 돌이나 나무 연장으로 사람을 죽인 자는 반드시 죽여야 한다.

③ 피를 보복하는 자는 그 살인한 자를 만나면 자신이 죽인다.

④ 이스라엘 자손이 거주하는 땅은 여호와께서 거주하는 땅인데, 이 땅을 더럽히지 말아야 할 것은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자손 중에 계시기 때문이다.

⑤ 고의로 사람을 죽인 자도 증인이 없으면 죽임을 당하지 않는다.

 

 

 

핵심 한 줄

 

⒜ 레위인에게도 집과 가축 등 생활에 꼭 필요한 것을 소유하게 하신 것이 여호와의 뜻이다.

⒝ 사람의 피를 흘리게 한 자는 고의건 실수건 간에 일체 돈으로 속량될 수 없다.

⒞ 영원한 대제사장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우리의 속함받을 길 없던 죄가 속함을 받았다.

   ⒟ 미움과 다툼으로 이 땅을 더럽히지 말라.

 

 

암송 구절

2

3

7

8

11

12

15

19

25

30

31

32

33

34

 

 

정답

[문제35-1]

[문제35-2]

[문제35-3]

 

 

적용

㈎ 레위인이 땅을 기업으로 받지 못했지만, 거처와 가축은 소유하게 하신 여호와의 뜻은 무엇일까 얘기해 보자.

㈏ 살인자는 어떠한 경우에도 돈으로 속량될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도피성에 살게 된 살인자가 대제사장이 죽으면 자기의 집으로 돌아가는 의미는 무엇인가?

㈑ 살인에 대한 예수님의 가르침은 무엇인가?

 

 

 

Copyright © 2014 by Paul Han

 

blog.daum.net/happybible

'민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수기36장  (0) 2014.04.05
민수기34장  (0) 2014.03.12
민수기33장  (0) 2014.02.15
민수기32장  (0) 2014.01.19
민수기31장  (0) 2013.12.31